
우리나라 산업계는 지난 5일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위원회’가 발표한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시나리오와 관련해 시나리오대로의 추진 과정이 산업 경쟁력을 약화하는 부작용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다른 나라 산업계의 생각은 어떠할까? 오늘날까지 자국의 경제적 이익만을 위해 지구환경을 이 지경으로 만든 선진국들의 해법은 어떠할까? 아마도 그들 역시 현실성 없는 시나리오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들은 앞선 기초과학을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 쪽으로 매진하면서 계속해서 선진국의 지위와 새로운 이득을 취하려고 할 것이다. 또한 후발 몇몇 나라들은 그들 능력에 맞는 4차 산업에 뛰어듦과 동시에 저렴한 노동력과 자원을 이용해 얻을 수 있는 재화를 결코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국가이기주의 속에서도 다행스럽게 2050년에 ‘파리가후변화협약’의 목표를 달성해 탄소중립을 이루었다고 해도 그간의 기후변화로 인한 모든 문제 상황들을 바로 잡을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아무도 자신있게 답하지 못할 것이다. 환경 회복은 수십 년, 수백 년이 걸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하더라도 우리 산업체들은 국가가 마련한 시나리오에 맞춰 유연하게 대처함은 물론, 최선을 다하려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국제사회의 손가락질을 받아서는 절대 안 될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정부는 탄소중립 노력과 동시에 4차 산업은 물론 닥쳐올 문제들에 대한 몇 가지 환경산업을 더 계획하고 실행해 주기를 기대해 본다.
우선 숲을 가꾸어나가야 할 것이다. 숲과 열대우림의 보호에도 범지구적으로 구속력 있는 협약이 필요하다. 보호에 필요한 비용을 나머지 모든 국가가 분담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지구표면 온도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10℃)해왔던 것은 식물의 광합성과 온실효과 사이의 균형 때문이었다. 더욱이 숲은 이산화탄소의 배출구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물들을 보호 및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많은 기후과학자들이 미래의 대류권 온난화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예를 들어 빙하의 해빙과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문제 발생 등 여러 가지 재앙 외에도 온대지역에서의 강우량 감소 현상이 있다. 지역에 따라 다소 다르겠지만, 미국 중서부 지역, 캐나다의 초원, 러시아의 대초원 지역 등 세계 곡창지역의 강우량 감소는 곡창지대가 사막화될 수도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우리나라는 누구나 잘 알듯이 식량 수입 국가이며, UN에서 정한 물 부족 국가에 포함된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해서라도 하루라도 빨리 기후변화에 대비를 해야 한다.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핵심 4차산업에 ICT를 접목한 스마트 팜 농업을 일으켜야 하며, 동시에 유전공학에 대한 연구 및 투자를 과감히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이산화탄소를 에틸렌과 같이 유용한 물질로 전환시키는 기술에 대한 투자도 늘려야 할 것이다. 캐나다와 러시아의 북극 동토대 지역의 냉동된 얼음구조 틀에 물리적으로 갇혀있는 또 하나의 중요한 온실기체인 메탄이 대기온도가 올라가면서 동토대 밖으로 나오기 전에 모든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모든 것을 미리 대비하는 국가만이 미래를 가져가게 될 것이다.
허황 울산인재평생교육진흥원장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