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지난해 청년일자리 사업 15개에 사업비 47억여원을 투입했다. 올해는 16개 사업에 58억여원을 투입하고 있다. 청년층의 창업 지원을 위해서도 지난해와 올해 각각 21억원과 17억원을 투입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울산의 청년 고용률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전국 청년 고용률은 큰 차이 없이 꾸준히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지역 청년들의 고용률 하락은 청년들의 수도권 진입을 의미하는 것이어서 더 큰 문제가 된다. 2018년 울산의 청년 인구는 29만383명에서 2029년 27만9874명, 2020년 26만8410명, 올해 8월 현재 26만874명으로 2만9509명 줄었다. 청년의 엑소더스를 방치하면 도시가 활력을 잃게 된다.
이 가운데 지난달 완료한 ‘울산지역 인구 유출 방지를 위한 청년층 실태조사’ 용역은 청년들의 이동과 취업을 해결하는 실마리를 준다. 용역 내용을 보면 무엇보다 청년들을 위한 ‘4차 산업혁명 등 트렌드에 맞는 교육사업 확대’가 시급함을 알 수 있다. 기존 제조업 중심의 교육 사업에서 탈피해 AI, VR·AR,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중심 교육을 확대한 뒤 관련 인재를 양성해 디지털 기업을 유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같은 분석은 국토연구원의 연구에서도 잘 나타나 있다. 국토연구원 연구에 따르면 청년들에게 있어서 제조업은 최후의 선택지이나 다름없다. 다른 모든 직종을 둘러보고난 뒤 정말 할 일이 없으면 제조업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구인 미충원율의 경우 제조업이 서비스업에 비해 두 배가량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론적으로 청년들의 이탈을 막는 길은 IT나 지식산업 등 청년층이 선호하는 일자리를 많이 창출하는 방법 밖에 없다. 그러나 이같은 산업 고도화는 하루아침에 이뤄지지 않는다. 청년들을 붙잡아 두려면 지금이라도 울산시와 정부의 정확한 분석과 대책, 그리고 실행력이 뒷받침돼야 할 것이다. 지난 2010년대 들어 부산·울산·경남에 위치한 주요 제조업체의 연구개발(R&D)센터가 대거 수도권으로 이전한 뼈아픈 기억을 더듬어볼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