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을 대상으로 교육을 하다보면, 그린뉴딜과 기후정책의 차이점을 설명해달라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그리고 ESG금융과 탄소금융의 차이도 많은 분들이 알고 싶어 한다. 정말 고무적이다. COP3부터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를 참석했던 필자로서는 올해로 COP26를 맞이하며 격세지감을 느낀다.
대통령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회가 설립된 지도 햇수로 5년이 되었다. 이번 11월에 개최되는 제3차 한-러 지방협력포럼은 우리정부가 갖고 있는 북방협력에 대한 의지를 표명한다. 그린뉴딜, 탄소중립 등등 온실가스감축에 대한 의지 또한 강하다. 다행히 북방협력과 탄소중립은 성과물이 같다. 즉 북방정책과 기후정책은 같은 곳을 바라보고 있다. 바로 미래의 우리경제가 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정책이 선언적이라는 평가를 받는 것은 로드맵에 명확한 기술이 제시되어있지 않기 때문이다. 솔직히 말하면 우리는 기술투자 없이 바라는 것이 많아도 너무 많다.
북방협력은 우리의 목표를 보다 풍성하고 안정적으로 이행하는 데 힘을 보태준다. 그것은 바로 그린뉴딜과 기후정책, 그리고 ESG금융과 탄소금융의 차이를 설명하는 것과 맥을 같이 한다. 그린뉴딜과 ESG금융의 관계는 기후정책과 탄소금융의 관계와 일맥상통한다. 즉, 탄소금융 없이 기후정책은 성과를 얻어낼 수 없다. 또한 ESG금융 없이 그린뉴딜은 요원하다.
금융은 투자를 결정한다. 투자대상과 파트너 선정을 금융이 결정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즉 탄소금융이 지속가능한 개발목표를 챙기게 되면서 ESG금융으로 진화했듯이 기후정책도 일자리 창출과 사회적 균형을 고려하면서 그린뉴딜로 진화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투자대상과 파트너 선정에 있어 북방외교가 큰 힘을 발휘한다. 그것도 저탄소경제로 가는 방향으로. 우리는 현재 유가 80불과 헨리허브 가스가격 5불 시대를 살고 있다. 과거 대비 가격의 변동성이 공급안정성 보다 더 위험한 시대를 살고 있는 것이다.
유가스전이 존재하지 않으면서 에너지위기를 극복하겠다는 것은 아주 도전적인 일이다. 그래서 우리는 자원외교를 했다. 다양한 방식의 투자를 통해 자원 확보를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그 결실을 지금 보고 있다. 그나마 원유가격 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을 견딜 수 있는 건 그나마 그동안 뿌려놓은 투자의 결과이다. 그럼에도 아쉬운 것이 있다. 과거 대통령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회 활동 시 러시아 LNG도입을 적극적으로 제안한 적이 있다. 그때 미국 LNG가 훨씬 경제성이 있다는 반론을 많이 받았다. 헨리허브 가격이 3불 수준일 때였다. 물론 헨리허브 가격은 COVID-19로 인해 2불 이하로 떨어진 적도 있다. 그러나 지금 5불이다. 원유에 연동되건 헨리허브에 연동되던 간에 변동성을 고스란히 안아야 한다. 그래서 포트폴리오가 필요한 것이다.
현재 자원보유국들의 콧대는 아주 높다. 그중 러시아는 결국 독일을 천연가스로 굴복시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만큼 에너지는 안보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우리처럼 에너지인프라 연계(CONNECTIVITY)가 형편없는 나라도 드물다. 그러기에 더더욱 인프라 연계를 통해 에너지안보와 기후안보를 확보해야 한다.
코로나시대에도 불구하고 제3차 한-러 지방협력포럼이 오프라인으로 개최된다. 그만큼 열의와 공유하는 꿈이 있다. 꿈만 꾸면 몽상가가 따로 없다. 이제는 현실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그린뉴딜은 온실가스 감축 외에도 일자리 창출과 사회적 격차를 줄여야 하는 미션이 있다. 즉 단순히 감축을 위한 감축은 비용이다. 그러나 CCUS와 같은 기술투자를 통한 감축은 미래의 가치를 창출한다.
제3차 한-러 지방협력포럼 개최를 계기로 울산은 북방협력을 통해 에너지허브로 거듭나려고 한다. 포럼의 성공적 개최를 축하하는 것은 물론 우리의 숙명인 에너지안보와 기후안보를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에너지허브로 재탄생하길 응원한다.
김효선 한국탄소금융협회 부회장(울산시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