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 ‘지능형 선박’ 잰걸음, ‘디지털 조선’ 박차 가해야
상태바
[사설]울산 ‘지능형 선박’ 잰걸음, ‘디지털 조선’ 박차 가해야
  • 경상일보
  • 승인 2023.12.01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 조선·해운업계가 노동집약적 산업 구조에서 탈피해 정보통신기술( ICT)을 융합한 데이터 기반 ‘스마트십 생태계’ 조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스마트십(지능형 선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수집, 관리, 분석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 시스템인 ‘스마트십 데이터 플랫폼’ 개발과 실증 완료가 임박했다는 소식이다. 내년부터는 생태계 조성 기반 환경을 확보하고 ‘국제 표준화’에 나선다고 한다. 잘하면 울산이 세상을 지배하는 조선·해운업 표준 도시가 될 수 있다.

울산 조선업은 업황 장기불황으로 수주절벽과 구조조정의 고통을 겪은 바 있다. 울산이 미래에도 ‘조선 메카’로 번영하려면 ‘탈탄소·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내야 할 것이다.

울산정보산업진흥원, 울산항만공사,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는 30일 ‘2030년 조선·해운·항만 디지털 전환 콘퍼런스’에서 스마트십 데이터 플랫폼 구축 사업 성과를 공개했다. 지난 2021년 4월부터 HD한국조선해양 등 빅3 조선사와 해운사, 기자재업체, ICT 개발사, 유관기관이 공동으로 참여해 오픈소스형 플랫폼 개발, 선박 실증 및 상용화, 데이터 분석 서비스, 스마트십 개발 실증센터 구축 등 데이터 기반 조선·해운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스마트십 데이터 생태계가 구축되면 조선·해운업계의 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 안전성 향상 등 경쟁력을 크게 끌어올릴 수 있다. 저가 수주와 자국의 물량으로 경쟁하는 중국이 따라올 수 없는 디지털 조선기술을 확보하는 것이다. 여기에 HD현대는 이날 산학연 협력을 강화해 조선해양, 에너지 등 사업 전반에 AI 초격차 기술력을 확보하겠다고 발표했다.

올해 울산 조선업계는 10년 만에 찾아온 ‘슈퍼사이클’의 최대 수혜를 누렸다. HD중공업과 미포조선을 거느린 HD한국조선해양은 올해 수주 목표를 초과 달성(136%)했다. 조선 빅3 중 유일무이한 성과다. 무엇보다 수주의 질이 향상됐다. LNG 운반선에 더해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액화이산화탄소 운반선, 암모니아 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친환경 선박 위주로 수주 선종을 넓힌 성과다.

울산 조선업이 일본, 중국과 격차를 더 벌리려면 초격차 기술로 ‘생산성 향상’과 ‘가치 고도화’를 꾀해야 한다. 그러려면 AI 기술과 스마트·자율운항·에너지 저감기술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디지털 조선’으로의 전환이 선결 과제다. 울산시와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R&D 투자와 함께 조선·해운업계의 변화와 혁신 열정이 더해져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