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주도의 공교육 혁신을 위한 교육부의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공모가 다음 주 시작된다. 교육발전특구는 지역에서 유아부터 초·중등, 대학까지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대학, 지역 기업, 지역 공공기관 등이 협력·지원하는 체제를 말한다. 이에 울산시와 울산시교육청은 시범지역에 선정되기 위한 기본계획 수립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교육발전특구는 궁극적으로 지역에서 교육받은 우수 인재들이 소위 ‘인 서울’ 대학에 진학하기보다 지역에 있는 대학에 가고, 일자리를 잡아 지역에 정주하는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초·중·고 분야의 경우, 디지털 기반 수업혁신 방안을 우선적으로 적용해 좋은 학교에서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대학분야에서는 지역에서 자란 인재가 수도권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지역인재 특별전형 확대와 지역 대학 경쟁력 강화가 추진된다. 특히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은 의대, 첨단 기술 관련 분야, 지역산업 연계 특성화 분야 등의 ‘지역인재 특별전형’ 확대가 실현될 수 있다.
교육열은 높지만 청년층 상당수가 수도권으로 올라가는 울산의 경우 이번 교육발전특구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시와 시교육청은 지역의 통합적 발전전략과 연계한 지역교육 혁신생태계를 치밀하게 준비해 반드시 공모에 선정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여기에는 지역 대학, 공공기관, 기업 등도 함께 참여할 필요가 있다. 특히 지역 발전전략에 기업의 참여가 없으면 전체적인 지역발전 청사진에 큰 허점이 생길 수도 있다. ‘교육발전특구’가 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초·중·고, 대학에 이어 기업까지 포괄하는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 최근 10년간 비수도권에서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으로 향한 20대 청년이 60만명에 달한다고 한다(통계청). 이들은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수도권을 찾는다.
시범지역의 구체적인 모델이나 지정 개수는 정해지지 않았다고 한다. 지역의 여건을 반영한 ‘상향식’ 지역교육 발전전략을 마련하는 것이기 때문에 획일적인 기준을 제시할 수 없다는 것이 교육부 설명이다. 그렇다면 더더욱 울산은 이번 교육발전특구에 도전할 필요가 있다. 산업수도 울산의 특징을 대거 부각하고 이를 울산의 교육상황과 연계할 수 있다면 울산의 독창적인 모델을 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교육발전특구는 지자체만의 역량으로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중앙정부 차원의 규제를 과감하게 걷어내고 새로운 교육형태를 고안해야 비로소 교육 혁신이 이뤄질 수 있는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