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의 ESG 행정이 낙제점을 받았다. 지자체 행정 및 정책에서의 환경(E)과 사회(S) 지배구조(G) 부문 접목이 전국에서 가장 미흡하다는 평가다. 울산 지자체들의 환경개선에 대한 노력이 부족하고, 사회적 가치 창출과 투명하고 효과적인 행정에 보완할 점이 많다는 진단이다. 미래 60년 산업수도로 위상을 유지하는 울산의 지속가능한 발전전략에 비상이 걸렸다. 울산시와 구·군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ESG 정책과 실행과제를 재점검해 보완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한국ESG평가원이 7일 공개한 ‘2023년 정례 지자체 ESG평가’ 결과 울산은 광역단체 중 대구와 함께 최하위인 C등급으로 평가됐다. 울산은 전력 등 에너지 사용량과 관련한 ‘환경 부문’에서 B등급 받았지만, 보육시설이나 지역 안전등급 등 ‘사회 부문’과 재정자립도, 주민참여예산, 민원서비스 등 ‘지배구조 부문’은 C등급에 그쳤다. 울산 5개 구군도 최고등급인 A+나 A, B+ 등급 순위 안에 들지 못했다.
울산시와 구군의 ESG 평가가 낮다는 것은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전략에 따른 탄소중립 정책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금처럼 일방적으로 정부정책에 따르거나 정책의 일부를 수정·보완하는 정도의 ESG 행정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지역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정책 과제가 반드시 필요하다. 시와 구·군은 현재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연계해 지역 온실가스 발생량을 줄이는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수립 중이다.
울산은 지방정부뿐만 아니라 주요 기업들의 ESG 경영도 미흡한 것으로 평가됐다. 한국ESG평가원이 지난달 발표한 ‘정례 ESG평가 보고서’를 보면 전국의 상장 대기업 100곳 중 최고인 S등급이나 A+등급을 받은 울산지역 상장 기업은 전무했다. 차상위 A등급에는 현대자동차, SK이노베이션, 롯데케미칼, LG생활건강 등이 이름을 올렸을 뿐이다. 나머지 기업은 중위 B+등급이나 B등급에 머물렀다. 기후위기 시대 기업이 ESG 경영을 소홀히 하면 무역 활동에까지 영향이 미친다.
지속가능한 발전은 단기적인 이익만 좇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시각과 지속 가능성을 고려해 경제, 환경, 사회적 측면을 균형 있게 고려해 지속적인 발전을 추구하는 것이다. 울산의 경우 차별화된 획기적인 방안을 모색하지 못한다면 ‘저탄소 친환경 도시’로의 체질 전환이 어려워질 수 있다. 지방정부와 기업의 과감한 투자와 혁신, 시민사회와의 파트너십 등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