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시행되는 글로벌 규제들은 전 세계 온난화를 막기위해 탄소배출량을 규제하는 파리기후협약을 명분으로 추진되지만 실제로는 역내 자국기업을 보호하고 코로나19 극복에 쓴 막대한 재정 지출을 메우기 위해 도입된 세금(탄소세)를 도입, 부과하는 것이 핵심 목표다. 대한민국의 수출중심 제조기업은 탄소세 부과 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 하지 못할 경우 가격경쟁력에 심각한 어려움에 처하게 된다. 수출중심의 대한민국 기업들이 탄소세 대응을 위해 실질적인 준비사항에 대해 몇가지 이야기 하고자 한다.
수출 기업 경영진의 주요 목표는 제품탄소발자국 관리 및 인증을 통해 탄소세 절감이어야 한다.
탄소세 절감을 위해 실데이타 기반의 정확한 제품탄소발자국 산정 및 관리체계를 만들어야 하며 기본 데이터 확보 필요, 공급망 데이터 확보가 필수이며 글로벌인증보고서 작성 및 검증 절차를 준비해야 한다. 이 작업은 복잡하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제조생산공정에서 발생(Scope1)하는 탄소내재배출량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출발점이며, 제품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실사용 에너지 데이터(Scope2), 공급망 협력사에서 제공해야 하는 탄소배출량 데이터(Scope3)에 대한 실탄소 데이타를 확보하는 것이 기본이다. 이 데이터는 추후 글로벌 3자 인증기관을 통해 현장실사, 데이타검증, 추적, 인증을 받아야만 한다.
첫째, 기본 데이터 확보는 제품식별, 생산공정 정의 및 계획 수립과 실데이터수집 및 배출량 산정을 통해 정확하게 이뤄져야 한다. 탄소데이타 수집, 측정, 분석, 추적, 인증(CBAM)등을 통하여 공급망 실사법(CSDDD)에 대한 효율적인 대응, 재생에너지(RE100) 활용 및 모든 제품 개발 적용에 대한 디지털제품여권(DPP)대응, 탄소배출량이 높은 협력사들에 대한 공급망 제고 및 재생에너지 활용 신기술 개발요구등에 대한 체계적이며 효율적으로 관리해야만 한다.
둘째, 글로벌 규제가 요구하는 글로벌 인증서는 3자 인증사에서 심사수행준비를 위한 전주기평가기반 탄소배출 인증심사 산출물 준비와 필요 요건 파악과 LCI DB, 인벤토리, 생산공정설비, 폐기물·에너지, MES·ERP등 20여종 이상의 산출물 검증하여 제품탄소발자국 계산, 탄소배출량 데이터 검증 절차등을 통해 검증결과서 및 ISO 14067기반 인증서 발급을 진행한다.
셋째, 실탄소데이타를 기반으로 탄소회계관리를 MES·ERP와 연계해 구현하고, 글로벌 기관 (IFRSISSD/SEC)에서 요구하는 공시 의무 보고 해야만 한다.
넷째, 다양한 글로벌 규제를 관리 및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통합 ESG 리스크관리시스템을 만들어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투자와 관리를 통해 중복투자제거, 체계화 된 시스템 관리를 ESG 경영과 탄소세, 규제대응강화를 목표로 종합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최근 주요 글로벌 사업을 하는 대·중견기업을 중심으로 탄소중립대응시스템 체계를 보면 가장 중요하고 기반이 되는 실데이타 확보가 아닌 편의성만 추구된 키인(Key-in) 데이터를 중심으로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을 개발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 인증기관이 요구하는 데이터의 정합성, 투명성, 추적성을 요구하는 실데이타가 아닌 키인데이타 방식은 글로벌 인증을 받는데 어려움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어 결국 탄소세 리스크, 준비시간소모, 중복투자비용등의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다. 기술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더라도 반드시 Primary 데이타 확보를 위한 노력과 투자가 선행되어야 한다.
기업 경영진은 수출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탄소세 부담에 위기를 인지하고 기업의 사활을 걸고 준비해야 하며 유럽 탄소국경조정제, 공급망 실사법, 탄소중립로드맵 수립 및 탄소감축 전략, 재생에너지 신기술 개발해야 한다. 대기업과 공급망 협력사인 중견, 중소기업들의 수출경쟁력 강화 및 탄소세 장벽을 넘어 설 수 있도록 정부산하조직 및 제조기업이 많은 울산, 경남, 경기·인천 등의 지방자치단체, 대한상공회의소등이 일관성 있는 방향과 투자, 예산 지원등 힘을 모아 대한민국 미래의 국가경제성장 및 기업들의 수출경쟁력이 강화 되기를 소망한다.
권혁준 IBM 컨설팅 전무
※외부원고는 본보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