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관광 거점도시’로 도약하려는 울산의 꿈이 또다시 좌절될 위기에 처했다. 동남권 해역에서 유일하게 해양부의 공모사업에 도전했지만, 2년 연속 고배를 마셨다. 이로써 해양수산부의 전국 7개 권역별 해양레저관광 거점 조성 사업은 동남권(부산, 울산) 해역만 유일하게 배제된 체 추진되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을 맞이하게 됐다. 이는 동남권 해역과 울산에 대한 ‘패싱’이나 다름없다.
해양수산부의 이번 결정은 권역별 선정 원칙을 도외시한 형평성 논란은 물론 국가 해양 정책의 일관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기에 충분하다. 결과적으로 막대한 국비를 지원하는 권역별로 해양레저관광 거점 조성 사업을 동남권 해역만 유일하게 배제한 꼴이 됐기 때문이다.
해양수산부는 울산이 제안한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 기준과 선정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동남권 해역의 해양레저관광 발전을 위한 대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해양수산부는 31일 ‘2024년 해양레저관광 거점 공모사업’에 경남 창원시의 진해구 명동지구 도시형 해양레저관광 거점 사업(총사업비 430억원)을 한려수도권 사업자로 최종 발표했다. 창원시는 지난해 이 사업 탈락 이후 지역 국회의원과 함께 전방위적 노력을 기울여 해양수산부 올해 예산에 관련 사업비 10억원을 반영시킨 결과에 힘입어 무난히 사업자로 선정됐다.
그러나 ‘왕의 휴양지, 해양레저관광의 중심 일산’으로 재도전에 나선 울산시와 동구는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이번 탈락으로 전통 주력 산업의 성장력 감퇴로 지역 경제가 침체되고, 인구 유출이 심화돼 ‘디스토피아’라는 암울한 도시의 미래를 ‘해양관광“으로 바꾸려는 울산의 노력이 또다시 시험대에 오르게 됐다.
울산은 북구 신명동~서생면 비학리까지 108㎞에 달하는 긴 해안선을 보유한 해양관광 산업의 성장 잠재력이 높은 도시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분석 결과 지난해 울산의 해양관광 시장 규모는 2조 원대로 성장, 지역 경제에 적잖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제조업의 성장둔화와 지방소멸 극복 방안으로 해양관광 산업 육성의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울산시는 풍부한 해양자원을 활용해 해양관광 발전을 위한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 무엇보다 중앙 정부와 지속적인 소통과 협력이 절실하다. 정부의 해양레저관광 거점사업이 빛을 발하려면 지역별로 균형 있게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정부의 동남권 해역에 대한 전향적인 결정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