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국 곳곳에 ‘극한호우’가 내리면서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력에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울산에서도 지난 8일 남구 매암동, 울주 청량 등 일대에 국지성 호우가 쏟아지면서 순식간에 도로가 물바다로 변했다. 2016년 태풍 ‘차바’ 이후 방재시설이 확충됐다고 하지만, 집중호우나 극한호우 시에는 여전히 시스템이 마비되고 있다,
울산은 UN ‘방재 안전도시’에 이어 재난 대처 능력이 탁월해 ‘재난복원력 중심도시’로 인증을 받은 도시다. 일상화된 극한호우에 대비해 울산의 방재시설 개선과 첨단 방재대응 체계 구축, 기상특보 구역 세분화 등 도시의 방재안전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해야 할 때다.
울산지역에서도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양의 비가 내리는 집중호우나, 극한호우에 도로와 저지대 침수, 하수관 역류 등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지난 8일만 하더라도 1시간여동안 내린 집중호우에 매암동, 청량읍 등 도심 곳곳이 물에 잠기고 우수관로가 역류해 일대가 한동안 마비됐다. 침수 피해는 기본이고 신호기 고장, 정전, 구조 요청 신고도 잇따랐다,
‘극한호우’는 1시간 누적 강수량 50㎜ 이상, 3시간 누적 강수량 90㎜ 이상이 동시에 관측될 때를 말한다. 당시 청량 일원에는 30분 동안 80㎜의 비가 내려 1시간 기준 160㎜에 이르는 극한오후가 쏟아졌다고 한다. 이러니 방재시스템이 제대로 작용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차제에 울산시와 구·군의 방재시스템 전반을 점검해 봐야 할 때다. 특히 재난대응체계에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4차산업 기술을 접목해 선제적 재난 예측 및 대응 시스템을 확보해야 한다. 무엇보다 극한 호우발생을 사전에 시민들에게 적극적으로 알리고 안전대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골든타임을 확보는 게 중요하다.
기상청은 지난 5월부터 울산지역을 ‘동부와 서부’로 나눠 ‘육상 특보구역 세분화’를 시행 중이다. 최근 국지적인 위험기상의 잦은 발생을 감안해 지역 지형과 사회·경제적 특성을 반영해 기상특보를 세분화해 발표하고 있다. 이 조치로 울산 시민들의 방재 안전성이 대폭 향상됐다.
욕심을 더 내자면 울산의 복잡한 자연환경과 다양한 산업구조 등을 감안해 특보구역을 좀 더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번 물난리 처럼 국지적인 위험 기상은 언제든지 또 발생할 수 있다. 국지적인 극한호우로부터 시민을 지킬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 특보구역 세 세분화를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