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 울주군 서생면 신암마을이 원전지원금을 활용해 홀몸노인과 한부모 가정을 지원하는 ‘마을형 공익 임대주택’ 사업을 추진한다. 옛 마을회관 부지에 들어서는 다목적 시설을 통해 고령화된 마을의 취약계층 주거 문제를 해소하고, 세대 간 상생과 돌봄의 공동체 모델을 만들겠다는 점에서 이목이 집중된다.
30일 울주군에 따르면 서생면 신암마을에 홀몸노인과 한부모 가정을 위한 다목적 시설 건립이 추진된다. 지난해 12월 전력기금단의 원전지원금 사용 승인을 받은 이후, 올해 추석 이후 입찰을 거쳐 내년 상반기 준공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지상 4층 규모로, 14억4000여만원이 투입된다.
신축될 시설은 원룸 형식의 임대공간이다. 형편이 어려운 홀몸노인과 한부모 가정에 관리비만 받고 제공된다. 그들의 자립 생활을 지원하는 동시에 마을 공동체의 복지 역량을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상호 신암마을 이장은 “고령화가 심해지면서 노인들이 마을 곳곳에 흩어져 살고 있다. 서로 자주 들여다볼 수 없어 돌봄 공백이 생기는 게 현실”이라며 “건물이 완공되면 노인들이 함께 생활하면서 안부를 확인하고 공동체적 돌봄이 가능해질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신암마을은 시설 완공 후 홀몸노인과 한부모 가정이 같은 건물에 살면서 자연스럽게 유대감이 형성되면, 노인들이 한부모 가정의 아이들을 간접적으로나마 돌보는 방식을 도입할 수 있을지 타진할 계획이다.
이는 마을 차원의 작은 돌봄 시스템 구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번 사업은 원전지원금의 모범적 활용 사례로 평가될 수 있다. 원전지원금은 발전소 인근 지역 주민들의 생활 여건 개선을 위해 지급되는 재원으로, 주민 복지와 지역 인재 육성, 산업 생태계 발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쓰이고 있다.
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지원금이 도로 확장이나 일회성 사업에 쓰이는 등 실질적 주민 복지로 이어지지 못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신암마을 사례는 주민 생활의 기본 조건인 주거와 돌봄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지원금을 집중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울주군 관계자는 “지난해 주민들의 건의로 시작된 사업이다”며 “사업이 정착하고 더 좋은 효과를 내도록 주민들을 옆에서 돕겠다”고 말했다.
신동섭기자 shingiza@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