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금값 4137.2달러…연일 사상 최고치 경신
상태바
국제 금값 4137.2달러…연일 사상 최고치 경신
  • 오상민 기자
  • 승인 2025.10.15 00: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은값이 1980년 미국의 ‘은파동’ 사태때 기록한 고점을 갈아치웠다. 13일(미 동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은 현물가격은 4.7% 급등한 온스당 52.5070달러를 나타냈다. 이는 은파동 사태 당시인 1980년 1월 기록한 사상 최고치를 넘어선 가격이다. 14일 서울 시내 금은방에 실버바가 진열돼 있다. 연합뉴스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 완화 국면에서도 국제 금(金)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다시 갈아치우며 강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잦아드는 가운데서도 금값이 상승 곡선을 그리자 시장에서는 유동성 과잉과 투기성 자금 유입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13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 산하 금속선물시장(COMEX)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은 전 거래일보다 3.3% 오른 온스당 4133.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 한때 4137.2달러까지 치솟으며 사상 최고가를 다시 경신했다.

이날 금값 상승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 방침을 유화적으로 선회하고, 뉴욕 증시 3대 지수가 일제히 반등한 상황에서도 나타나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미중 갈등 완화에도 투기성 자금 유입이 이어지면서 금값이 4100달러를 돌파했다”고 분석했다.

일반적으로 금 가격은 주가와 반대로 움직이지만, 최근 2년 사이에는 글로벌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의 영향으로 주가와 동반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말 온스당 2641달러 수준이던 금 시세는 현재 56.5% 급등했다.

한 증권 관계자는 “이자도 없는 금이 올해 모든 자산 중 수익률 1위를 기록 중”이라며 “인플레이션 헤지(hedge) 수단이자 안전자산으로서의 이중적 성격이 강세를 이끌고 있다”고 진단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정책과 주요국 재정 불안이 채권의 안전자산 기능에 대한 신뢰를 흔들면서 투자자들이 금으로 쏠린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미국 경기 침체가 본격화하면 금 상승세도 둔화할 수 있다. 물가 둔화 시 투자자들이 금보다 채권을 선호할 가능성이 크다”는 시각도 나온다.

한편 JP모건, 골드만삭스 등 주요 글로벌 투자은행(IB)은 금값이 온스당 480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오상민기자·일부 연합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특집]추석 황금연휴, 울산에서 놀자
  • 3대 대형마트 추석당일에도 영업, 백화점은 추석 전후 이틀간 휴무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13)유익한 지름길-청구뜰공원
  • 울산 여야, 차기 시장선거 준비체제 전환
  • 한가위 보름달, 구름사이로 본다
  • 황금빛으로 물든 가을들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