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김태선(울산 동구·사진) 의원이 기후에너지환경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울산의 화학 사고율은 8.1%로 전국 평균(1.6%)의 5배에 달해 “노후 설비를 방치한 채 기업의 자율적 개선만 기대하는 현 제도로는 더 큰 사고를 막기 어렵다”고 14일 지적했다.
김 의원은 “울산은 국가산단이 밀집된 대표적인 석유화학 도시지만, 전체 설비의 절반 이상이 가동된 지 30년이 넘은 노후 시설”이라며 “배관·압력용기·저장탱크 등 주요 설비의 부식이나 균열, 변형이 진행되고 있지만, 사용 연한이 남았다는 이유로 여전히 가동 중인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석유화학 업계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기업의 투자 여력 자체가 크게 위축된 상황”이라며 “이런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채 기업의 자율적 개선만 기대한다면 울산의 화학 사고율은 앞으로 더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김 의원은 “현재 전국 7개 권역에 운영 중인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가 있지만, 예산과 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특히 울산센터의 인력 충원과 장비 확충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전 정부의 무리한 연구개발(R&D) 예산 삭감으로 우리나라의 재생에너지 연구가 1년 넘게 멈춰 서 있다”고 주장했다.
전상헌기자 honey@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