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본보 취재를 종합하면, 올해 기준 울산에는 북구 23곳, 남구 20곳, 울주군 16곳, 동구 9곳, 중구 8곳 등 모두 70곳이 넘는 스마트정류장이 운영 중이다.
정류장에는 냉·난방기와 자동문을 비롯해, 공기청정기·휴대폰 무선충전기·미세먼지 알림판 등 다양한 편의시설이 설치돼 있어 주민 만족도가 높다.
그럼에도 민원이 적지 않다는 점은 아이러니다. 각 구·군 민원창구에는 ‘정류장 안이 너무 덥다’ ‘아직 더운데 왜 난방을 켜냐’ 같은 민원부터 ‘아무도 없는데 불을 꺼야 한다’거나 ‘그래도 공공시설이니 불은 계속 켜놔라’ 등 민원이 끊이지 않는다.
대부분 자동화돼 상황에 맞게 온도 조절이 가능하지만, 장소와 시간, 이용자에 따라 체감 온도가 다르다 보니 하루에도 같은 정류장에서 온도 관련 민원이 여러 차례 접수되기도 한다.
일부 구간은 원격 조정이 불가능해 담당 공무원이 직접 현장을 찾아 조절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용자 인식 차이로 인한 갈등도 생기고 있다. 일부 시민은 버스를 기다리는 용도를 넘어 잠시 머무는 휴식 공간으로 이용하거나, 심지어 장시간 체류하기도 한다. 실제로 새벽 시간대 정류장에서 잠을 자거나, 충전기 주변에 모여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사례가 신고되는 일도 있다.
이에 대한 주민 반응은 엇갈린다. ‘버스를 타지 않더라도 쉬는 건 괜찮다’는 의견이 있는 반면, ‘버스를 기다리라고 만든 시설이 쉼터로 변질되고 있다’며 불편을 호소하는 주민도 있다.
무엇보다 가장 많은 민원은 ‘우리 동네에도 설치해 달라’는 요구다. 그러나 한곳 당 설치비가 평균 8000만원에서 1억원에 이르고 도로 폭이나 이용량, 전력 인입 여부에 따라 설치가 불가능한 곳도 많다. 그럼에도 주민 만족도가 높아 각 지자체는 꾸준히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관리를 담당하는 지자체는 정류장 간 설비 격차로 골머리를 앓기도 한다. 설치 시기와 예산 규모에 따라 기기 구성과 품질이 달라 고장 빈도에도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전자장비가 많다 보니 한 기능을 고치면 다른 장치가 오류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고, 업체마다 부품 규격이 달라 수리도 쉽지 않다는 게 현장의 반응이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민원 내용이 워낙 다양해 모두 반영하기는 어렵지만, 운영 기준을 세워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다”며 “주민 만족도가 높은 사업인 만큼, 데이터를 분석해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글·사진=김은정기자 k2129173@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