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 남부권 발전, 그린벨트 해제에 달렸다
상태바
[사설]울산 남부권 발전, 그린벨트 해제에 달렸다
  • 경상일보
  • 승인 2022.08.22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시가 울주군 남부권 일대 접경지에 신도시를 건설하기로 했다. 울산 남부권 인구가 부산·양산 등지로 계속 빠져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이대로 방치하다가는 기장·정관·웅상 등으로의 엑소더스가 갈수록 더 크게 나타날 판이다. 김두겸 시장이 공약한 남부권 신도시 건설은 그런 차원에서 시급한 현안이다. 아무리 부울경메가시티를 외쳐봤자 울주군민들이 빠져나가면 헛일일 뿐이다.

울산시가 발주하려는 ‘남부권 신도시 건설 기본계획 수립 용역’은 그런 의미에서 중요하다. 어쩌면 울산시도시기본계획을 크게 흔들어버릴 수도 있다. 왜냐하면 이번 용역의 배경에는 ‘그린벨트 해제’라는 큰 명제가 깔려있기 때문이다. 그린벨트를 풀지 않고는 김 시장의 구상이 제대로 구현될 수 없다는 것은 알만한 사람은 다 아는 사실이다. 울산시는 이번 기본계획 수립에 건곤일척의 승부수를 던져야 한다. 그린벨트를 존치한 상태에서 신도시를 건설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기 때문이다.

이번 용역은 동해선 역세권과 부산·양산 접경 지역 개발의 투 트랙으로 진행된다고 한다. 우선 덕하역 일원 4만6000㎡, 망양역 일원 23만㎡, 서생역 일원 72만4000㎡가량을 대상으로 용역을 진행하고, 한편으로는 온양·온산·서생과 웅촌 등 부산·양산 접경 지역에 대한 개발계획도 수립한다고 한다. 여기에는 갈수록 규모가 커지는 웅상·정관·기장 등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는 포석도 깔려 있다. 또 덕하역·망양역·서생역 등에 대한 역세권 개발에는 동해선을 통해 빠져나가는 인구를 붙잡겠다는 복안이 숨어 있다.

기본계획 수립의 타당성은 누구나 공감한다. 역세권에 주거·산업·교육·문화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신도시를 조성하는 것도, 국도 7호선과 31호선을 따라 접경 지역에 새로운 주거용지를 확충하는 것도 다 공감하는 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부권 개발의 한계는 역시 그린벨트 해제다. 그린벨트 해제 없이는 한 발자국도 움직일 수 없는 것이 울산의 현실이다. 울산의 그린벨트는 지난 1973년 울산을 부채살처럼 둘러막는 형태로 지정됐는데, 지금까지 주민들의 숨통을 막아왔다. 울산 주변 접경지역의 도시들은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데 인근 울주군민들은 질식당하고만 있었던 것이다.

남부권 기본계획 수립 용역은 남부권 발전의 열쇠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용역의 핵심내용은 그린벨트 해제로 요약된다. 김 시장의 이번 공약이 제대로 실현될 경우 울산은 새로운 성장동력을 얻어 미래로 성큼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