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민선 8기를 맞았으나 고용률과 근로자 임금 수준이 좀처럼 회복되지 않고 있다. 그 동안 울산이 극심한 경제침체를 겪어온 것은 사실이지만 최근 조사에서 고용률과 임금 회복 수준이 모두 전국 평균 보다 부진하다는 결과는 시민들을 당혹스럽게 한다. 민선 8기 시장이 제일성으로 산업수도 울산의 부흥을 천명한 만큼 현재의 문제점을 정밀하게 파악하고 하루 빨리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한국은행 울산본부 기획조사팀은 11일 ‘코로나19 이후 울산지역의 고용 및 임금 회복상황 평가’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울산지역 고용률은 58.4%로 코로나19 이전 대비 지수(2019년 100 기준)가 98.9 수준에 그쳐, 이미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넘어선 전국(101.1)보다 부진했다. 울산의 올해 7~8월 고용률은 60.0%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7~8월의 59.5%를 상회했으나, 역시 전국 평균(62.9%)보다는 낮았다. 울산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도 2021년 기준 291만5000원으로, 지수가 2019년(100 기준) 대비 99.1 수준에 그쳤다. 전국 평균(103.5)이 코로나19 기간에 상승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울산의 산업구조상 이같은 문제점들은 여러차례 지적돼 왔던 것들이다. 인구유출과 노동시장 미스매치, 주력산업 고용창출력의 약화, 산업 전 부문의 자동화 등이 그것들이다. 이런 시대적인 산업 전환을 두고 울산지역 전문가들은 많은 토론을 거듭해왔다. 그러나 지금까지도 뚜렷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는 사이 고용률과 고용의 질, 임금 등은 다른 도시에 비해 점점 열악해지고 있다.
이번 보고서에서 한국은행 울산본부 기획조사팀이 가장 먼저 제안하고 있는 것은 ‘신산업’ 관련 일자리다. 주력 제조업의 신산업 전환 지원, 신산업 일자리 중개, 신산업 인재 육성 등을 통해 지역 일자리를 창출하자는 것이다. 이는 공업센터 지정 이후 60년 동안 시민들을 먹여살렸던 3대 주력산업을 업그레이드 또는 전환하지 않고는 지역경제를 되살리기 어렵다는 뜻이다.
지난 7월 정부는 오는 2024년까지 미래형 자동차, 수소에너지, 시스템반도체, 이차전지, 바이오헬스 등 신산업·첨단산업 분야 인재 1만3000명을 양성하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제 울산도 ‘신산업’이라는 거대한 흐름을 타지 못하면 도태될 수밖에 없다. 민선 8기 울산시의 발빠른 대응과 또 한번의 도약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