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와 경주, 포항 등 3개 도시가 25일 5대 어젠다를 내용으로 하는 ‘2022년 하반기 해오름동맹 상생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날 협의회에는 김두겸 울산시장과 이강덕 포항시장, 주낙영 경주시장이 동시에 참석해 ‘해오름동맹 상생협의회 공동협약문’에 서명했다. 이로써 울산·경주·포항 3개 단체는 상생의 큰 걸음을 또 한발 내딛게 됐다.
해오름동맹은 같은 생활권인 울산·포항·경주가 울산~포항 간 고속도로 개통을 계기로 2016년 6월 결성한 행정협의체로, 세 도시의 인구를 모두 합치면 약 200만명이며 경제 규모도 95조원에 달한다. 또 지역별로 포항은 소재, 경주는 부품, 울산은 완성품으로 특화돼 있어 도시간 산업 연관성도 높은 편이다. 그러나 지난 2019년 세 도시가 공동으로 추진하던 ‘동해안 연구개발특구 지정’이 무산된 이후 이렇다 할 상생협력사업이 추진되지 않았다.
이런 와중에 민선 8기 3개 단체장이 공동협약문에 서명한 것은 적지 않은 의미가 있다. 특히 김두겸 울산시장이 부울경특별연합의 대안으로 해오름동맹을 활성화하기로 한 것은 울산의 대외정책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김 시장은 취임 직후부터 실익이 없는 부울경특별연합 대신 역사적·지리적으로 공통점이 많은 해오름동맹을 강화해 도시의 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공언해 왔다. 그는 산업수도 울산과 경주, 포항이 힘을 합친다면 어떤 연합보다 높은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강조해왔다.
이번에 3개 단체가 서명한 공동협약문을 보면 ‘실익’ 창출을 통한 새로운 상생 모델을 만들겠다는 의지가 확고하게 드러나 있다. 협약문의 내용은 △동남권 해오름 초광역 전철망 구축 △국가 첨단 가속기 기반 동맹 결성 △환동해 해오름 해안관광단지 조성 △해오름 형제의 강 상생 프로젝트 발굴 △해오름 미래산업단지 혁신 기반 조성 등 5가지다. 어느 것 하나 울산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이 없다.
그러나 그렇다고 부울경메가시티를 등한시하면 안된다. 해오름동맹의 활성화가 아무리 중요하다하더라도 부울경메가시티의 역할을 대신할 수는 없다. 해오름동맹이 실익을 중심으로 한 연합체 성격을 띤다면 부울경메가시티는 수도권 일극체제 극복이라는 국가적 과제 해결의 구심체이기 때문이다. 울산시는 북쪽으로는 해오름동맹을, 남쪽으로는 부울경메가시티를 염두에 두고 장기적인 정책을 펴나가야 한다. 도시간 정책적 연대는 시대적, 세계적 흐름이다. 어느 하나만 선택해야 하는 택일의 문제는 아니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