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과 (재)원전해체연구소가 31일 울산 울주군 서생면 명산리 일원에서 ‘원전해체연구소 착공식’을 개최했다. 원전해체연구소는 울산·부산 접경지역에 면적 13만7954㎡, 건축 연면적 1만9789㎡ 규모로 건립된다. 사업비는 2500억원이 투입되며 오는 2026년 개소된다.
원전해체연구소는 해체기술 실증, 해체 기술개발 지원, 방폐물 분석 지원, 국내외 원전해체 정보 제공 등 원전해체 산업지원의 종합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맡게 된다. 따라서 연구소는 착공 초기부터 지역경제에 적지 않은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고리 1호기 등의 본격 해체를 앞두고 원전의 안전한 해체 기술 확보에 해체연구소가 중심축이 될 것”이라며 “관련 기술 인력과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일감 확보와 기술 개발 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원전해체산업은 세계적으로도 유망한 산업이다. 박완주 국회의원(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무소속)이 지난 2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한 정책토론회 ‘원전 강국을 위한 원전해체산업 현황과 향후 과제’ 자료에 따르면 9월 현재 세계에서 운영 중인 원전 중 약 67%가 30년 이상의 원전으로, 사실상 세계 원전시장은 노후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우리나라도 지난 2017년 영구 정지된 고리 1호기 해체를 목전에 두고 있다. 전문가들은 원전해체 세계시장의 규모가 조만간 550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보고 있다.
울산은 이미 원전해체산업에 필요한 에너지고교, UNIST(원자력공학부),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등 교육기관과 기술개발, 실증화를 지원할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울산TP 등 연구기관이 집적화 돼 있다. 여기다 원전해체연구소 건립과 병행해 2023년부터 2026년까지 1000억여원 규모의 제염 성능평가 분석장비 등 총 240종의 기술개발 연구 장비가 구축된다. 뿐만 아니라 이 과정에서 2292명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돼 고용효과도 상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울산에는 최근 원전해체 전문기업 5개사가 들어와 이미 안착 단계에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아직 원전해체 실증 경험이 없어 선진국에 비해 불리한 점이 많다. 특히 정부가 확보한 기술 중 ‘제염, 부지 복원’ 등의 기술은 선진국에 비해 뒤처지는 수준이다. 따라서 철저한 실·검증을 통해 안전성이 입증된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다. 그러기 위해서는 부산과의 공조가 절실하며, 산업부와 한국수력원자력 등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조도 필요하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