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역의 전선지중화율이 전국 7대 특·광역시 가운데 꼴찌인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시와 한전 등에 따르면 울산지역 전선지중화율은 2021년 12월 기준 28%인 것으로 확인됐다. 7대 특·광역시 평균은 43.5%다. 울산 다음으로 전선지중화율이 높은 곳은 대구로 34.9%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울산이 전국 평균 전선지중화율을 깎아내리는 주범이라는 뜻이다. 학교주변 전선지중화율도 12.8%에 불과해 전국 평균 20.4%를 한참 밑돌고 있다.
전선지중화가 중요한 것은 우후죽순 마냥 심어져 있는 전주(전봇대)가 도시 미관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정전 등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주 원인이기 때문이다. 한전의 ‘전국 전주 통계 및 배전선 지중화율 현황’에 따르면 전국에 세워져 있는 전주는 대략 433만2000개를 넘는다. 이들은 대부분 도심에 세워져 있어 도시미관에 절대적인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 전선이 각 전주마다 뒤엉켜 있고 각종 통신선도 함께 연결돼 있어 전기 합선이나 폭발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교통사고의 원인이 되는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실제 한전 통계를 보면 최근 3년간 울산지역 전봇대에 차량이 충돌해 정전이 발생한 것은 5건으로 집계됐으며, 태풍 등 외부요인으로 인해 변압기에 정전·폭발 등의 사고가 발생한 것은 수십건을 넘는다. 지난 여름 태풍 힌남노가 덮쳤을 때는 남구와 울주군, 북구에서 대형 정전사고가 발생해 1000여 가구가 피해를 입었다. 정전이 발생하면 컴퓨터가 정지돼 기록이 날아가고 음식이 상하는 등 엄청난 피해를 초래한다.
그 동안 전선지중화사업은 도심 번화가와 대로 중심으로 지자체(50%), 한전(50%) 부담으로 진행돼왔다. 이 중 지난 2019년 고성·속초 산불의 발화지점이 전신주 개폐기 전선으로 추정되면서 전선 지중화 요구가 더욱 커졌다. 특히 학생들이 매일 등하교하는 학교 주변 전주에 대해서는 정부가 국비를 지원하는 등 각별한 신경을 쓰고 있다.
그러나 울산지역 전선지중화는 더디기만 하다. 시는 지난 2014년부터 2030년까지의 지중화계획을 세우고 5개 노선 11개 구간에서 공사를 진행해오고 있으나 1개 구간에 4~5년이 걸리는 등 한계에 봉착한 상태다.
전선지중화사업은 안전한 도시, 쾌적한 도시를 만드는데 매우 중요한 디딤돌이다. 울산시는 전선지중화사업을 한전의 사업으로만 치부할 것이 아니라 시민들의 주거환경을 적극적으로 개선하는 지자체 사업임을 다시 한번 인식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