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법정문화도시로 가기 위한 마지막 관문을 앞두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의 평가단이 오는 29일 울산을 방문, 현장실사를 갖는다. 이 관문을 통과하면 울산은 다른 5개 도시와 함께 정부가 선정하는 법정문화도시의 마지막 주자가 된다.
문체부는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2018년 12월부터 법정문화도시를 선정, 5년간 200억원(국비 100억원 시비 100억원)을 지원하고 있다. 법정문화도시는 ‘지역별 특색 있는 문화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문화창조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정된 도시’를 말한다. 유럽의 문화수도 정책과 유사하다. 유럽연합은 1985년부터 매년 유럽을 상징하는 도시 2,3곳을 선정해 ‘유럽문화수도’ 타이틀을 부여하고 1년간 집중적으로 문화적 지원을 하고 있다. 유럽문화수도로 선정된 지역의 주민 80%가 이 프로그램이 도시를 발전시킨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우리나라의 법정문화도시는 매년 10개 도시를 예비도시로 지정하고는 1년간의 준비기간을 둔 다음 심사를 거쳐 정식 법정문화도시를 선정한다. 울산시는 지난해 말 ‘꿈꾸는 문화공간 문화도시 울산’을 주제로 계획서를 제출, 제4차 예비문화도시에 선정됐다. 1, 2차에선 아예 지원도 하지 않았고 3차에선 지원했다가 탈락, 두번 만에 어렵게 4차 예비문화도시로 선정됐다.
문화적 기반과 역량이 빈곤한 울산은 법정문화도시 선정이 절실한 도시다. 법정문화도시 사업이 단순 시설·재정 지원 사업이 아니라 지역문화발전 종합계획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시민주도형 도시문화거버넌스로 변화를 유도하고 효과적 추진체계 구축과 컨설팅 지원을 통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과 지역주민의 문화적 삶을 확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술가나 작품 제작에 대한 경제적 지원과 축제 운영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는 울산의 문화행정에 법정문화도시 지정은 분명 새로운 변화를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울산문화재단이 중심이 돼 올 한해 동안 착실하게 준비했으나 예비문화도시에서 법정문화도시로 전환되기가 쉽지만은 않다. 1, 2차는 각각 10곳의 예비문화도시 가운데 7곳, 5곳만 법정문화도시가 됐다. 3차에서는 16곳 가운데 6곳만 선정됐다. 지금까지 법정문화도시는 모두 18곳이다. 4차에서는 16곳 가운데 6곳을 선정할 예정이라고 한다. 탈락률이 상당히 높다. 마지막 관문까지 보름가량 남았다. 법정문화도시 지정에 울산시의 행정력을 집중해야 할 시점이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