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주군청사 부지 활용, 깊이 있는 재검토 필요
상태바
[사설]울주군청사 부지 활용, 깊이 있는 재검토 필요
  • 경상일보
  • 승인 2022.11.21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시가 울주군청사 부지 활용방안을 재검토하기로 했다. 공사비와 부동산경기를 고려하면 막대한 적자가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옛 울주군청사는 2017년 12월 울주군이 청량면으로 청사를 옮겨가면서 벌써 5년째 텅 비어 있다. 지역주민들은 경관 훼손은 물론이고 야간 범죄의 온상이 될 수 있다며 사업을 서둘러 줄 것을 요구해왔으나 오히려 사업추진은 더 늦어질 전망이다. 울산시는 공사비 절감을 위해 설계변경을 추진한다는 방침이지만 사실상 원점 재검토도 고려하고 있다고 한다.

군청사 활용방안을 검토 중이던 울산시가 마침 전국적인 화두로 떠올랐던 청년·신혼부부 주택을 포함한 복합개발계획으로 국토부의 노후공공청사 복합개발 공모사업에 선정되면서 국비 97억원을 확보, 성급하게 진행했다. 당시 시의회에서 “금싸라기땅에 청년주택을 짓는 것은 사업성이 부족하다”며 제동을 걸기도 했으나 이미 국비를 받은 사업이라 되돌릴 수가 없었다. 옛 울주군청사 부지(1만754㎡)는 학군·공원·법조타운 등으로 인해 울산에서 가장 땅값이 비싼 지역이다. 계획대로라면 2022년 착공해 2025년 완공예정이지만 지난 8월 설계변경으로 인해 착공이 늦춰져 있는 상황이다.

건물은 지하 3층~지상 21층 규모로 청년과 신혼부부 등을 위한 행복주택 160가구를 비롯해 공영주차장과 도서관 등 공공시설, 상가를 포함한 근린생활시설 등이 들어간다. 총사업비는 1096억원으로 잡았다. 그런데 최근 사업을 맡아 진행 중인 울산도시공사가 원자재가격 상승과 금리인상으로 공사비는 200억원 더 늘어났으나 186억원으로 예상했던 임대료 수익은 오히려 20억원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파악하면서 다시 논란이 시작됐다. 울산시는 적자를 우려해 급하게 상가와 부대시설을 축소하는 등의 방안을 강구 중이라고 하는데, 땜질식 처방이 아니라 차라리 원점 재검토를 해야 한다. 당초 지적됐던 대로 청년·신혼부부 주택을 포함한 복합건물이 적절한 지역이라고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옥동에 자리한 군부대 이전 시 부지 활용방안과 연계해서 옥동 일대를 새롭게 정비하는 차원에서 대안을 모색해볼 필요도 있다. 옥동 일대는 학원가·법조타운으로 인해 인구밀도가 울산에서 가장 높은 지역이다. 옥동이 울산대공원으로 인해 삶의 질이 한 단계 높아졌다면 울주군청사와 군부대 이전은 한 단계 더 살기 좋은 도시로 상승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다. 그렇다고 군청사 부지를 오래 비워놓고 있을 수는 없다. 서두르되 신중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