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오르는 물가, 올해 막막해요”
상태바
“너무 오르는 물가, 올해 막막해요”
  • 권지혜
  • 승인 2023.02.03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농산물과 전기·가스·수도요금 등 물가가 치솟고 있어 서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2일 울산 남구 신정시장을 찾은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김경우기자 woo@ksilbo.co.kr
“안 오르는게 없네요. 새해부터 시작된 물가 상승에 가계 부담이 커져 살림살이가 더욱 팍팍해질 것 같네요.”

공공요금 인상에 새해 첫 달 물가가 다시 상승세를 기록했다. 석유류 상승세는 둔화됐으나 전기·가스·수도 요금이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2일 오전 찾은 울산 남구 신정시장. 점심시간을 앞두고 사람이 몰려야하는 시간임에도 가게에는 한산한 모습이었다. 장을 보러 온 시민들도 꼭 필요한 반찬거리만 구매해 장바구니가 가벼워 보였다.

신정시장에서 분식집을 운영하는 사장 A씨는 “1만6000원 하던 시금치(10㎏)가 3만8000원까지 올랐다. 부추 가격도 엄청나게 올랐다”며 “물가가 내려야 장사가 될텐데 큰일이다”고 토로했다.

채소를 비롯한 농산물의 가격도 올랐지만 시민들의 화두는 단연 전기·가스·수도 요금이었다.

카페를 운영하는 사장 C씨는 “영업시간을 줄였는데도 이번달 전기료가 51만2970원이 나왔다”며 “원래대로 장사했다면 100만원 가까이 나왔을 것”이라며 “아직 수도요금 명세서는 나오지 않았는데 얼마가 나올지 걱정된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가스비와 전기요금 상승은 중소기업에도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울산의 한 에폭시수지 제조업체는 지난달 스팀 사용료(가스비)가 1억원 정도 나왔다. 6개월 전 7000만~8000만원이던 것과 비교하면 20% 이상 오른 것이다. 전기요금은 6000만원 정도 부과됐는데, 역시 6개월 전보다 20%가량 올랐다.

업체로서는 에너지 비용 상승을 제품 가격에 반영하고 싶지만, 가격을 올리면 판매량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날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1월 울산지역 소비자물가지수는 110.07(2020년=100)로 전년동월 대비 5.0% 상승했다. 전월과 비교하면 0.8% 소폭 상승했다. 전국 소비자물가지수는 110.11(2020년=100)로 전년동월 대비 5.2% 올랐다.

울산지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5.8%) 이후 11월 4.9%, 12월 4.8% 등 하락세를 이어오다 지난달 다시 5%대를 기록하며 상승했다.

1월 물가 상승을 견인한 품목은 채소를 비롯한 농산물과 전기·가스·수도 요금이었다.

새해부터 물가 부담을 이끌었던 전기·가스·수도요금은 전년동월 대비 28.9% 상승,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특히 전기료는 전년동월 대비 29.5% 상승하며 역대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도시가스비도 전년동월 대비 36.4% 상승하며 1998년 4월(48.2%) 이후 24년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권지혜기자 ji1498@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