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NIST(울산과학기술원)는 생명과학과 박지영(사진) 교수 연구팀이 당뇨 합병증 유방암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표적을 발견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팀은 당뇨로 인한 유방암 진행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인 Nrg1(Neuregulin 1)의 조절 경로 기전을 규명했다. Nrg1은 암의 성장을 돕는 인자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혈당이 있는 유방암 세포에서 Nrg1의 발현이 증가하는데, 이에 대한 기전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단백질체 분석을 통해 고혈당 자극에 노출된 유방암 세포의 Nrg1 증폭자(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하는 DNA 염기서열) 영역에 RBPJ 단백질이 결합하는 것을 발견했다. 또 이것이 노치 신호전달 경로(Notch signaling pathway) 활성화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검증했다.
연구팀은 고혈당 자극에 의한 노치 신호전달 체계를 억제했을 때 Nrg1 발현이 감소하고, 암 성장 속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 고혈당 유방암 생쥐 모델에서 노치 억제 약물을 투여해 표적 항암제 라파티닙(Lapatinib)의 항암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박지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당뇨 현상이 암세포의 특정 종양 촉진 인자(Nrg1)에 기억돼 암세포의 항암 내성과 재발에 관여함을 밝힘으로써 암 환자의 대사 상태에 따른 표적 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