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울주군 온산읍에 위치한 공장은 지난해부터 가동이 멈췄으며, 최근 파트너사 지분 정리도 완료했다.
1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코리아니켈은 이달 열리는 주추총회에서 청산 철차 안건을 처리할 예정이다.
1987년 5월 고려아연과 포스코그룹, 브라질 최대 광물회사 발레(Vale)가 합작해 설립한 코리아니켈은 36년만에 사업을 청산하게 됐다.
이 회사는 1988년 울산 온산읍에 니켈 전기로 공장을 세웠다. 발레가 니켈 반제품을 이 공장에 공급하면, 코리아니켈이 니켈 완제품을 생산해 포스코에 납품하는 형태로 실적을 올려 왔다.
하지만 지난해 1월부터 공장 가동을 멈췄고, 현재 발레와의 니켈 원재료 공급계약, 포스코그룹과의 니켈 공급계약도 모두 종료됐다. 지분도 정리했다. 고려아연은 지난해 10월부터 발레(25%), 포스코홀딩스(14%), 포항공과대학(5%) 등이 보유한 자사주 지분을 437억원(주당 18만4000원)에 사들였다. 현재 이 회사 지분은 영풍그룹 계열사인 고려아연(34%)과 영풍(27%)이 61%를 보유 중이다. 고려아연 최윤범 회장의 사촌인 최내현 한국전구체·켐코 대표도 지분 10%, 영풍문화재단은 5%를 쥐고 있다.
코리아니켈이 청산 절차를 밟게 된 이유는 코리아니켈이 생산하는 니켈 제품은 스테인리스강(STS)에 쓰이는 것으로, 현재 고려아연이 집중하려는 이차전지용 니켈 사업에서는 코리아니켈의 설비를 활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아울러 고려아연과 포스코가 각각 2차전지 원자재 사업을 확대하고 있는 만큼 니켈 사업에서 독자 노선을 걷기 위함으로 알려졌다.
고려아연 관계자는 “이차전지용 사업에 집중하는 상황에서 코리아니켈의 설비를 활용하기 힘들다고 판단해 법인 청산 절차에 들어갔다. 주총 승인을 받아 연내 청산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