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박 전 원장은 지난 17일 YTN 라디오에서 “문 전 대통령께서는 ‘현재 민주당이 총단합해서 잘해야 하는데 그렇게 나가면 안 된다. 지금 이 대표 외에 대안도 없으면서’그 정도 얘기를 하셨다”고 했다. 박 전 원장은 지난 10일 문 대통령을 예방했다.
문 전 대통령 메시지가 이 대표의 거취와 연결되자 비명(비이재명)계 의원들은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이상민 의원은 20일 SBS 라디오에서 “박 전 원장이 문 전 대통령과 말씀을 나눈 게 있다고 해도 전직 대통령 말씀은 어쨌든 영향력이 크고, 미묘한 문제이니 밖에 이야기할 성질은 아니다. 밖에 이야기하면 여러 파장이 일지 않겠느냐”고 했다.
SNS로 지난 17일 문 전 대통령 예방 사실을 공개한 박용진 의원도 당내 현안과 관련한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박 의원은 예방 후 페이스북에 “대통령님께서도 민주당이 조금 달라지고, 뭔가 결단하고 그걸 중심으로 또 화합하고 이런 모습을 보이면 내년 총선은 국민 신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격려해주셨다”고 적었다.
이와 관련, 박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에서 “예방 후 페이스북에 올린 글이 당내 갈등, 현안의 소재로 소환되는 데 동의하기 어렵다.전직 대통령은 국가 통합의 상징이고, 그분의 말씀은 격려와 조언 정도로 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대표 거취를 이렇게 보는 거냐, 저렇게 보는 거냐고 하는데, 해석이야 마음대로지만 그런 일은 없었으면 한다. 이 대표 관련해선 여쭤보지도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박 전 원장 언급과 관련해선 “그런 문제로 전직 대통령과 이야기하는 건 적절치 않다고 생각했다. 혹시 나왔더라도 굳이 밝히고 그럴 필요가 있었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고 했다.
문정부 청와대 정무수석 출신인 최재성 전 의원도 KBS 라디오에 출연, “비명계 주장도 있고 친명계 주장도 있는데, 한쪽 편에 문 대통령이 편승하는 발언을 할 이유가 없다”고 했다.
당 수습책의 하나로 거론되고 있는 당직 개편을 두고도 계파 간 신경전이 이어졌다. 친명계 김용민 의원은 BBS 라디오에서 “일부 요구처럼 인위적으로 비명계가 원내대표를 맡거나, 향후 공천과 관련해 어떤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사람을 당직에 임명해야 한다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그런 요구가 나오는 것 자체가 부적절하다”고 주장했다.
당직 개편 요구가 공천 때문이라는 친명계 일각이 주장에 대해 비명계 박용진 의원은 라디오에서 “공천 갈등 때문에 벌어진 일인 것처럼 하는 것도 적절하지 않다”고 반박했다. 김두수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