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 울산본부가 29일 발표한 ‘2023년 3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3월 울산지역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3.0로 전월 대비 2.9p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6월(99.5) 이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한국은행은 “물가 상승폭이 둔화하고 마스크 전면 해제 등에 따른 일상 회복 기대감의 영향으로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CCSI가 100보다 높으면 장기평균(2003~2022년)과 비교해 소비 심리가 낙관적, 100을 밑돌면 비관적이라는 뜻이다.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구성하는 15개 지수 가운데 현재생활형편, 생활형편전망, 가계수입전망, 소비지출전망, 현재경기판단, 향후경기전망 6개 지수를 이용해 산출된다.
이달 소비자심리지수를 구성하는 6개의 구성 항목 가운데 가계수입전망(-1p)를 제외한 모든 항목이 상승하면서 지수 상승 흐름을 이끌었다.
향후경기전망이 +8p로 가장 크게 상승했고, 현재경기판단(+5p), 생황형편전망(+5p), 소비지출전망(+1p) 등이다.
3월 금리수준전망지수는 121으로 2월(114)보다 7p 올라 상승전환했다. ‘현재와 비교해 6개월 후 금리’가 지금보다 오를 것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하락을 예상한 사람보다 많으면 이 지수는 100을 웃돈다.
한국은행은 “3월 조사기간 미국 긴축 기조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에 금리 인상 확률이 높게 나타나다가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 등 금융 불안이 커지자 인상 확률이 낮아지는 등 변동폭이 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글로벌 고물가가 지속되면서 아직은 금리가 오를 여지가 있다고 생각하는 응답이 더 많았던 것 같고, 앞서 금리수준전망지수가 높은 수준에 있다가 큰 폭으로 내린 만큼 그 반등으로 상승한 효과도 있다”고 말했다.
3월 주택가격전망지수(83)는 2월보다 9p 올랐다. 주택시장이 여전히 부진한 편이지만, 주택가격 하락 폭이 축소되고 주택담보대출 규제가 완화된 영향이다.
한편 향후 1년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월(4.0%)보다 0.1%p 낮은 3.9%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 3.8%에서 지난 1월 3.9%, 2월 4.0%까지 상승했다가 3개월 만에 하락했다.
한국은행은 “아직도 가공식품·외식비·교통 요금 등의 인상 폭이 높은 수준이지만 최근 유가가 하락했고 전반적인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 폭도 둔화했다”며 “하반기 기저효과로 물가상승률이 더 내려갈 것이라는 뉴스도 있어 소폭이지만 기대인플레이션율이 하락하게 된 것 같다”고 말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