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상범 수석대변인은 30일 국회에서 취재진과 만나 “오염수 관련 용어는 이제 오염 처리수로 공식화해야 한다”고 했다.
유 수석대변인은 “저쪽(일본)에서 오염된 걸 처리해 방류하는 거니까 오염 처리수 사태라 불러야 할 것이다. 오염 처리수가 국제원자력기구(IAEA)에서 쓰는 공식 용어”라고 했다.
당 우리바다지키기 검증 TF 위원장인 성일종 의원도 이날 ‘수협·급식업계 간 수산물소비 상생 협약식’ 이후 “용어는 오염 처리수가 맞는다. 정치 공세를 위해 오염수라 부르고, 핵 폐수라 부르는 것”이라고 말했다.
성 의원은 ‘정부나 당 차원에서 용어를 제대로 정리하겠다는 것이냐’는 질문에도 “위원장인 내가 썼으니까 이미 우리는(당은) 공식화했다고 봐야 한다”고 했다.
수산업계에서는 아예 ‘오염’을 빼고 ‘처리수’로 불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노동진 수협중앙회장은 협약식에서 “이 시간 이후로 모든 우리 어업인은 오염수에서 처리수로 명칭을 변경하겠다”고 밝혔다.
노 회장은 “과학적으로 증명된 다핵종 제거설비(ALPS)로 정화돼서 나가는 물을 자꾸 오염수, 오염수 하니까 여기에 대한 거부반응이 있는 것”이라며 “국민들을 호도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했다.
울산 출신 김기현(남을) 대표는 이날 ‘오염 처리수’로 바꿔야 한다는 의견과 관련해 “국제적으로도 ‘treated water’(처리수)라고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김 대표는 이날 경기도 광주에서 열린 경기도의회 국민의힘 현장정책회의를 마치고 취재진과 만나 “실제로 배출되는 것이 오염수를 처리한 후 나오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김 대표는 다만 명칭 변경 여부에 대해서는 “당에서 공식 입장을 정하고 그런 단계는 아니다”라고 부연했다. 이어 “용어가 그렇게 중요한 것이 아니고, 중요한 건 실체”라고 강조했다.
명칭 변경이 수산물 소비 등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느냐는 질문엔 “국민들이 용어에 따라 판단을 달리할 만큼 그렇게 어리석지 않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국민들은 오염수라고 불리는 그 물이 처리돼서 배출된 이후의 과학적 데이터들을 정확하게 보고 판단할 것이라 본다. 이미 과학은 입증되고 있기 때문에, 괴담으로 과학을 이길 수 없다”고 말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도 이날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 ‘처리수’) 용어 변경에 대해 “검토해 보겠다”고 밝혔다.
한 총리는 이날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종합정책질의에 출석, ‘수협 회장은 후쿠시마 처리수라고 부르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정부에서 용어 문제를 짚고 넘어가야 한다’는 국민의힘 안병길 의원의 지적에 이같이 답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