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윤 대통령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체포동의안 가결과 대법원장 공백 현실화 등 여파로 국회 운영이 멈추고 정치 실종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여의도발 ‘정쟁’과는 거리를 두려는 모습이다. 추석 밥상머리 민심을 고려한 행보라는 해석이 정치권에서 나온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25일 “윤 대통령이 연휴를 앞두고 소비 진작, 경제 활성화 방안에 몰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정쟁에서는 조금 벗어나서 경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번 연휴에도 민생과 안보를 챙기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윤 대통령은 추석 당일 일본 히로시마 한국인 원폭 피해자들과 만나는 것을 포함해 연휴 기간 거의 하루도 빠짐없이 공식 일정을 소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으로 전해졌다.
휴일에도 쉬지 않는 공무원들을 격려하거나 전통시장을 방문해 물가 동향을 점검하고 상인들과 만나는 일정도 고려하고 있다고 한다. 군부대 시찰 일정도 거론된다.
윤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정부는 지난달 말 추석 민생안정대책을 선제적으로 마련하고 명절 물가 안정과 내수 활성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10월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한 만큼 6일간의 연휴가 내수 활성화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관계 부처는 국민들께서 실제 체감할 수 있도록 명절 기간 물가 안정과 소외 계층 돌보기에 정부 역량을 집중해 달라”고 관계 부처에 거듭 지시했다. 이어 국무위원들에게 “주위에 소외되고 힘든 나날을 보내는 분들이 없는지 세심하게 살피고, 함께 하는 한가위가 되도록 해주기를 바란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또 지난 18~23일 미국 뉴욕 방문 성과에 관해 “글로벌 시장과 엑스포가 우리 것이라고 확신하고 몸을 던져 뛰면 우리 것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포함해 41개의 양자 정상회담, 뉴욕대 디지털 비전 포럼 연설, 지역별 정상 그룹 오·만찬 등 총 48개의 외교 행사를 가졌다”고 방미 일정을 요약했다. 그러면서 “47개국 정상들을 만나 2030년 부산엑스포 개최에 대해 지지를 호소했다”며 “부산엑스포가 지니는 연대의 상징성을 강조했다”고 부연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국무위원들에게 순방 후속 조치를 지시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