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김 대표의 지역구가 있는 울산은 김 대표의 총선 관련 가변성에 따라 여야 중앙 정치권은 물론 같은 당 소속 김두겸 시정부를 비롯한 기초단체장, 지방의원들에 이르기까지 직간접 영향권에 있어 더욱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김 대표의 의중은 과연 무엇일까? 본보 취재를 종합하면 김 대표의 총선 향방은 결과적으로 용산과의 조율이 관건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金 발언 배경과 정치적 의미는
김 대표는 이날 의원총회 후 기자들이 ‘영남권 중진들이 수도권에 출마해야 한다는 혁신위 입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묻자 “혁신위에서 아직 제안해 온 바가 없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영남권 중진 험지 출마론’에 대한 취재진의 거듭된 질문에 “제안을 정식으로 해오면 말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밝힌 것이 전부다.
인 위원장 등 혁신위가 내년 4월 22대 총선 관련해 이른바 ‘영남권 스타의원들’의 수도권 등판론에 대해 공식 안건 또는 직접 화법으로 물으면 김 대표 자신의 입장을 밝히겠다는 의미로 읽혀진다. 김 대표의 속내는 현재까지 확인된 바 없다.
인 위원장 또는 혁신위가 공식 안건화 하는냐가 관건인데 아직 회의 석상에서 공론화 된 바 없다는 사실이다.
특히 인 위원장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영남의 스타’들이 서울 험지에 와야 한다고 언급한 것과 관련, “누구를 특정해서 얘기한 적도 없고 하지도 않을 것이다. 당, 선대위가 결정해야 하는 것으로 혁신위가 하면 월권행위”라고 한발 물러섰다.
인 위원장의 이러한 언급을 볼 때 향후 혁신위 활동 기간 김 대표를 비롯한 영남권 다선 의원들의 수도권 징발론을 사견으로 한정하면서 공식 안건화 하지는 않을 것이란 관측이 많다.
이와 관련 대구를 지역구로 둔 3선 윤대옥 원내대표는 혁신위의 ‘영남권 중진 수도권 출마론’에 대해 “혁신위의 공식적인 논의를 거쳐 의결된 안건에 대해선 내가 개인 의견을 표명할 수 있지만, 그런 단계가 아니다. 혁신위에서 당의 혁신을 위해 중지를 모으는 과정이라 생각한다”고 했다. 결과적으로 인 위원장의 영남권 다선 의원 ‘수도권 징발론’은 당장의 현실화엔 무리가 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용산과의 조율’ 우선될 듯
본보 취재를 종합하면 김 대표의 총선 거취 결정은 인요한 혁신위 보다는 ‘용산’과의 사전 조율이 우선일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정기국회가 중반전으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이 31일 국회에서 새해 예산안 시정연설 이후 예산정국이 마무리 되면 곧바로 ‘공천정국’으로 전환된다. 상시적 신뢰 채널이 구축된 ‘용산’과 김 대표는 자연스레 총선 관련 의제에 대해서도 대화가 오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여권 핵심부를 중심으로 2개 안이 흘러나온다. 여권의 실질적인 총선 사령탑인 김 대표가 현재의 지역구인 울산 남을에 출마하는 대신 전국 지휘를 하는 방안과 총선 후 윤 정부 집권 3년 차 큰 폭의 개각 가능성과 관련해 ‘총리 후보군’ 또는 ‘입각’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성급한 전망도 나오고 있다.
때문에 김 대표의 향후 총선 동선은 울산 출전에 비중을 두는 선에서 ‘뉴스메이커’로 계속 부각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현실론이 우세하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