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민주당 등 야권에 따르면 당 밖으로는 절치부심한 여당이 던진 초대형 정책·혁신 드라이브에 치이고, 당안에선 수면 아래로 가라앉은 듯 했던 계파 갈등 등 잠복했던 이슈가 다시 부상하고 있어서다.
10·11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에서 압승을 거둔 지 한 달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선거 승리 효과는 이미 사라졌고 보선 승리 이후가 ‘잃어버린 한 달’이었다는 자조 섞인 목소리도 있다. 이번 보궐선거가 ‘총선 전초전’으로 여겨진 만큼 낙승 기세를 내년 총선까지 쭉 이어갈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와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여당에 빼앗긴 정책 주도권을 되찾기 위해 이재명 대표가 ‘경제성장률 3% 달성론’과 횡재세 도입으로 맞불을 놨지만, 역부족이란 평가다.
168석의 거대 의석에도 집권 여당의 정책 카드에 맞대응할 패가 마땅하지 않다는 야당의 한계가 여실히 드러난 셈이다. 당내에서는 특히 쇄신 경쟁에서 열세를 보이는 점은 뼈아프다는 지적이 많다.
이 대표의 구속영장 기각, 선거 승리 이후 바짝 몸을 낮춘 비명(비이재명)계는 ‘공천 학살’ 우려 목소리를 키우며 ‘이재명 험지 출마론’을 제기하는 한편 탈당이나 집단행동까지 불사하겠다는 강경 입장이다. 이들은 총선기획단에 친명(친이재명)계 인사가 대부분이라는 점이나 총선 인재 영입기구인 인재위원회 위원장을 이 대표가 직접 맡은 것 등을 두고 ‘사당화’ ‘친정 체제 구축’이라고 연일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여기에 이 대표가 전국 선거 조직 관리를 담당하는 요직인 조직사무부총장에 친명계 김윤덕 의원을 임명하면서 비명계의 의심의 눈초리는 더욱 날카로워지고 있다.
친명계인 경남 양산 출신 김두관 의원이 여당발 혁신 드라이브 대응 차원에서 이 대표의 험지 출마 요구에 가세했지만, 당 주류에서는 별 반응이 없다. 여기다 앞으로 총선기획단이 현역 의원 페널티 강화를 골자로 하는 김은경 혁신위 안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계파 갈등이 폭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당 일각에선 총선에서 200석을 확보할 수 있다는 낙관론이 돌출하면서 ‘오만 프레임’ 역풍을 우려한 지도부가 황급히 진화에 나섰다. 특히 원내에선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탄핵 추진 과정에서 여당의 기습 필리버스터 철회에 허를 찔리며 전략 부재만 드러냈다는 불만이 분출했다. 김두수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