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 등 공직후보 선출 관련 당헌·당규엔 당 공천관리위에서 취약 지역구 또는 전략 지역구에 대해선 우선 공천을 실시하도록 돼 있다. 때문에 혁신위의 제안은 김기현 지도부와 향후 꾸려질 공천관리위에서 어떻게 접근하느냐에 따라 변수가 예상된다.
◇인요한 혁신위 전 지역구 경선원칙
당 혁신위원회가 4호 혁신안으로 ‘전략공천 원천 배제’ 카드를 꺼내 들었다. 인요한 혁신위는 지난 주 4호 혁신안으로 모든 지역구에서의 전략공천을 원천 배제해야 한다고 김기현 지도부에 제안했다.
혁신위가 제대로 된 혁신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중진·친윤의 총선 불출마 혹은 수도권 험지 출마와 함께 맞물려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당원과 국민이 참여하는 경선을 통해 후보자를 정하는 상향식 공천의 경우 인지도가 높고 탄탄한 조직을 구성한 현역 의원이 정치 신인이나 청년보다 유리할 수밖에 없다.
텃밭인 영남에 대체로 분포한 중진·친윤 의원들의 희생 결단이 없으면 경선을 하더라도 해당 지역구에서 변화가 이뤄지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의미다. 이에 혁신위는 ‘진정한 혁신’을 기치로 중진·친윤 용퇴 압박을 재차 이어갈 태세다.
한 혁신위원은 19일 “전략공천 배제를 통한 공정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중진들의 희생이 전제돼야 한다. 중진·친윤 의원들의 불출마나 험지 출마를 계속해서 요구할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김기현 지도부 이철규 인재영입위원장이 이미 30~40명 정도의 영입에 나선 상황에서 이들에게 경선을 강요한다면 영입 자체가 어려울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울산 6개 지역구 경선원칙 지켜질까
울산지역 선거구에 대한 공천 원칙은 일단 당헌·당규를 근거로 경선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된다.
하지만 지역구별 친여권 총선 주자들의 ‘공천 대진표’에 따라 전혀 다른 그림이 예상된다. 예컨대 19일 현재 친여권 총선 주자가 김기현 대표 외엔 한계에 있는 남구을의 경우엔 경선 필요 없이 ‘단수 우선공천’ 가능성이 높다. 울산을 중심으로 당 안팎에서 김 대표가 전국 지원을 명분으로 지역구를 사수해야 한다는 물밑 주문이 나오는 이유이기도 하다. 권명호 의원 지역구인 동구의 경우에도 권 의원 외엔 뚜렷한 후보자가 눈에 띄지 않는다는 게 정치권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박성민 의원의 중구와 이채익 의원의 남구갑, 서범수 의원의 울주군은 복수의 경쟁자로 경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당 공천관리위에서 현역 의원과 원외 도전자를 대상으로 사전 시뮬레이션 결과 압도적으로 현역 의원의 경쟁력이 높은 경우엔 경선 없이 단수 추천도 가능하다는게 여권 핵심부의 설명이다.
이런 가운데 다음달 또는 1월 중 관심이 집중되는 것은 공천심사에 앞서 현역 의원 중도탈락 여부다. 당 지도부가 지난달 실시한 당무감사 결과와 외부 여론조사 전문기관에 의뢰해 실시한 현역의원 경쟁력 여론조사 결과(본보 11월15일자 1면) 하위 20%에 해당하는 의원은 ‘컷오프’가 확실하다.
19일 현재까지 당협위원장이 공석 인 북구는 당 지도부 인재영입위원회에서 경쟁력을 갖춘 특단의 외부 인물을 수혈하지 못하게 될 경우엔 직전 당협위원장인 박대동 전 국회의원 등 일부 인사들간 공천심사가 이뤄질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김두수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