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지도부의 이러한 방침은 혁신위의 안을 접수한 뒤 최고위에서 다각적이고도 심도 있게 종합 검토한 뒤 공관위에 넘겨 당내 논란을 최소화 하는 선에서 연착륙을 염두에 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당 지도부는 최고위원회에서 혁신위의 용퇴론 ‘보고’를 받더라도 ‘의결’은 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불출마나 험지 출마는 어디까지 개인이 선택할 문제이고 최고위에서 공식 의결할 성질의 안건이 아니라는 것이다.
청년 비례 50% 할당 등 혁신위가 제안한 다른 안건에 대해서도 공천관리위원회나 총선기획단에서 충분히 반영할 것이라는 입장을 유지 중이다.
당 최고위원회의는 이날 비공개회의에서 “제안한 혁신안들에 대해 적극적인 의지를 가지고 공천관리위원회에서 최대한 검토하겠다”는 의견을 모았다고 박정하 수석대변인이 전했다. 그러면서 “혁신위가 제안하고 언론을 통해 공개된 여러 혁신안에 대해 상당 부분 의미 있는 혁신안을 제안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했다.
특히 박 수석대변인은 혁신위가 ‘당 지도부·중진·친윤(친윤석열) 의원’들에 대해 불출마 또는 험지 출마를 요구한 것과 관련해선 “지도부에서 따로 이야기되지 않았다. 혁신위가 최종적으로 정리해 건의·요청하면 종합적으로 판단해 다시 한번 의견을 말씀드리겠다”고 했다.
그는 또 “공천 관련해선 불가피하게 공관위가 의결해야 해서 당 최고위나 지도부도 영향을 미칠 수 없다. 혁신안의 정신과 원칙이 반영되도록 공관위가 구성되면 잘 전달하겠다”고 부연했다.
이와 함께 김기현(울산 남을) 대표가 지난 25일 지역구인 울산 남구에서 의정보고회를 열어 출마 의지를 밝혔다는 해석이 나오는 데 대해 “2호 혁신안(주류 불출마 또는 험지행)은 여러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 각자 개별적으로 판단해야 하는 부분이라 시간을 두고 기다려보는 게 맞지 않나 싶다”고 지도부의 기류를 전했다.
이런 가운데 혁신위원회는 이날 당 지도부·친윤·중진들의 불출마 혹은 수도권 험지 출마 요구를 오는 30일 회의에서 공식 안건으로 의결한다는 방향을 잡은 것으로 전해졌다.
권고 수준이었던 용퇴론을 혁신위의 공식 의결을 거쳐 지도부에 정식으로 요구하는 절차를 밟기로 한 셈이다.
한 혁신위원은 “용퇴론을 둘러싼 혁신위 내부 갈등은 잘 정리됐고, 30일 회의에서 용퇴론 안건을 의결하게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일단 혁신위는 30일 대면회의를 앞두고 언행에 신중을 기하는 모습이다.
혁신위는 이날 예정됐던 화상회의를 열지 않기로 했고, 인요한 혁신위원장도 한국노총 방문 일정을 취소했다.
‘울산 출마 강행설’을 낳은 김기현 대표의 지역구 의정보고회에 대해서도 공식 반응을 자제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