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요한 혁신위로부터 험지 또는 불출마 압박을 받고 있는 김 대표는 거대 야당 더불어민주당과의 ‘총선 전쟁’을 치러야 하는 여권의 중심축이다. 때문에 본인 총선 행보의 가변성에 따라 여권 전체 판도는 물론 울산 정치권에 미치게 될 영향에 입체적인 스크린이 필요한 상황이다.
김 대표가 총선 행보에 신중을 기하면서 당 최고위 회의를 통해 다음달 중순께 꾸려질 공천관리위원회에 공을 넘기기로 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여야 총선 대진표 등 전국의 총선 득실에 대해 공관위에서 면밀한 판단 후 결정해 달라는 의미가 담길 것으로 풀이된다.
김 대표의 이러한 과정의 이면엔 박성민 의원의 ‘대용산 막후 역할론’이 나온다.
지난해 3·9 대선 당시 당 조직부총장의 중임을 맡아 전국 조직관리로 대선 1등 공신으로 평가받는 박 의원은 지역 정치·행정·시민들의 여론을 종합해 김 대표의 ‘울산 남을 출마 가닥’(본보 11월21일자 1면) 브리핑을 하기도 했다.
김 대표의 총선 행보와 관련해 사실상 처음으로 구체적 언급을 한 것으로 여권은 물론 정치권에 큰 반향을 불러왔다.
당시 박 의원이 국회 당대표실에서 국비 확보차 상경한 김두겸 시장과 동석한 자리에서 나온 의견을 브리핑했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을 끌었다.
김 대표와 박 의원, 김 시장이 함께 했다는 점에서 김 대표의 총선 행보가 본인은 물론 울산의 정치지도, 더 나아가 울산의 대정부, 대국회 영향력에 가져올 변화에 대한 고심을 함께 했을 것이란 추측이 가능하다. 여기엔 3자간 평소 신뢰가 구축돼 있기 때문에 가능했을 것이란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올 3월 당 총선 관리와 관련해 전략기획부총장을 맡았다가 10·11 서울 강서구청장 보선 책임으로 물러난 박 의원은 여전히 물밑에선 김 대표와 용산과의 시그널을 작동하는 막후 역할을 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시정부를 책임지는 김 시장은 김 대표의 총선 행보는 물론 정치적으로도 직간접 개입할 수 없는 선출직 공직자 신분이지만 협업을 통해 울산 발전이란 큰 틀에서 일정 부분 역할이 불가피해 보인다.
22대 총선을 4개월 앞둔 울산 여권 핵심 3인방이 각자 역할 분담으로 윤 정부 3년차 동력에 사활을 걸고 있는 모양새다. 김두수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