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민주당에 따르면 이재명 대표의 구속영장 기각 후 한동안 비주류 목소리가 잦아들며 잠잠했던 계파 갈등이 내년 4월 총선에 이어 8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의 주도권을 잡겠다는 친명(친이재명)계와 비명(비이재명)계 사이의 신경전이 갈수록 가열되는 분위기다.
양측 간 파열음은 당장 내년 총선에 적용할 공천 룰과 전당대회 룰을 두고 터져 나왔다.
당이 권리당원 대 대의원 표의 반영 비율을 60대 1에서 20대 1 미만으로 변경하는 전당대회 룰 개정과 총선 때 선출직 공직자 평가 하위 10%에 든 현역 의원의 경선 득표 감산 비율을 20%에서 30%로 올리는 공천 룰 개정을 동시에 추진하면서다.
친명계 일색의 지도부가 이 같은 방침을 발표하자 비명계는 불만을 감추지 않고 있다.
비명계는 전당대회 룰 변경을 두고 친명 성향 권리당원이 다수인 만큼 이재명 대표에 이어 친명계가 차기 당 대표까지 차지하려는 포석이라고 의심하고 있다. 또 당내 평가가 좋지 않은 현역 의원의 감산 비율을 늘리는 것은 결국 친명계를 공천에서 유리하게 하려는 의도라는 게 비명계의 시각이다.
이에 대해 친명계 한 의원은 이날 “비명계 스스로 공천에서 탈락할 것 같다는 짐작으로 그렇게 반발하는 것 아닌가”라며 “당의 시스템 공천 원칙에 따르면 될 문제”라고 반박했다.
민주당은 전당대회 및 공천 룰 개정을 오는 7일 온라인 방식의 중앙위원회에서 의결하려 했다.
그러나 제대로 된 토론이 이뤄지기 어렵다는 비명계 요구를 받아들여 중앙위를 대면 회의로 열기로 했다.
계파 갈등은 이 대표 측근인 김용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이 지난달 30일 불법 정치자금 수수 등 혐의로 실형을 선고받은 것을 계기로 더 심화하고 있다. 특히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가 다시 소환되는 형국이다.
한편, 비명계 5선인 더불어민주당 이상민 의원(대전유성을)이 이날 탈당을 공식 선언했다. 이 의원은 이날 언론에 보낸 입장문에서 “나는 오늘 자로 더불어민주당과 결별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