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대 총선 공천정국이 본격화 되면서 ‘친명’(친이재명) 대 ‘비명’ 파열음이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2명의 전직 총리가 이 대표 체제를 흔들고 있는 형국이다. 사실상 제3신당 창당 수순에 들어간 게 아니냐는 관측이 야권에서 나온다.
7일 민주당 이원욱 의원에 따르면 정세균 전 국무총리가 최근 민주당의 상황에 대해 “여태까지 정치를 해오면서 가장 민주주의가 실종된 정당의 모습을 보고 있다”고 말했다.
당내 비명계이자 정세균계 대표적 인사인 이 의원은 이날 불교방송 라디오에 출연, 정 전 총리가 자신에게 이 같은 발언을 했다고 전했다. 이 의원은 “당에 대한 정 전 총리의 걱정이 무지하게 크다”고도 했다. 이른바 문재인 정부 3총리(이낙연·정세균·김부겸)의 정치 연대설이 제기된 가운데 정 전 총리가 현재의 이재명 대표가 주도하는 친명 체제를 비판한 구체적 발언이 전해진 것이어서 주목된다.
정 전 총리는 이 의원에게 자신의 반대 세력이던 비주류 인사들과 대립하거나 배제하는 대신 끌어안으려고 노력했다는 일화도 들려줬다고 한다.
총리를 지낸 이낙연 전 대표도 이날 “양당의 폭주에 대한민국을 맡기다가는 크게 낭패를 당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이날 YTN과의 인터뷰에서 “양당의 폐해에 진저리 치는 국민이 늘어나는 건 정치에 대한 분명한 경종이자 경고이므로 국민께 ‘이런 대안은 어떤가요’라고 겸손하게 여쭤보는 게 정치 안정에도 좋다”고 밝혔다. 그는 “여론조사를 보면 양당 모두 싫다는 국민이 30% 가량 된다. 양당만 놓고 ‘답을 고르세요’ 하는 시험 문제를 강요하면 그 30%는 어디로 가야 하나”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마냥 시간을 끌고 연기를 피울 수 없다”고 말해 조만간 창당과 관련한 결단을 내릴 가능성도 암시했다.
이런 가운데 비명계 의원들은 이날 당 지도부가 추진한 전당대회 룰 개정과 총선 경선에서의 현역 의원 불이익 강화에 강력히 반발했다. 민주당은 이날 국회 도서관에서 온오프라인 방식을 병행한 중앙위원회를 열어 당 대표를 뽑는 전당대회 권리당원 투표 반영 비중을 높이고, 선출직 공직자 평가 하위 10%인 현역 의원의 경선 득표 감산 비율을 20%에서 30%로 확대하는 두 가지 당헌 개정을 확정했다.
비주류 모임 ‘원칙과 상식’ 소속인 이원욱 의원은 자유토론에서 “직접민주주의가 정치권력과 결합할 때 독재 권력이 된다는 것을 나치에서 봤다.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는 태극기 부대와의 결합으로 총선에 패배했다. 우리가 그 모습을 닮아가고 있다. 총선을 앞두고 왜 분란을 만드느냐”고 반발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