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의 진보 계열 정당과 노동계는 이미 동구를 중심으로 수개월 전부터 후보 단일화 작업을 진행해 왔지만 정당과 노동계 내부 사정 등으로 단일화 작업이 멈춘 상태로 빨라야 다음달 말 정도나 윤곽이 나올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28일 이들 정당은 이날 국회 소통관 공동기자회견에서 “내년 총선을 계기로 진보정당과 노동운동, 기후 정의 운동 등 다양한 사회운동의 연대와 혁신이 그 어느 때보다 절박한 시점임에 깊이 공감한다”며 “윤석열 정권의 거대한 퇴행에 맞서 22대 총선에서 공동 대응을 모색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 의석수 확대를 위해 소수 정당이 모여 연대하는 형태로 총선을 치르겠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지역 노동계와 울산 진보 4당 등은 진보 후보 강세 지역인 동구와 북구를 중심으로 후보를 단일화한다는데 원칙적 합의를 하고 지난 8월 민주노총 울산지역본부 동구지역 총선대책위원회(이하 민노총 동구총대위) 출범에 이어 11월 경선 후보 등록 접수까지 마쳤다.
하지만 노동계 단일화가 민주노총 울산지역본부 차원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취지에서 단일화 작업이 늦춰진데다 민주노총 울산본부와 현대중공업지부 새 집행부의 내년 초 출범까지 겹쳐 단일화 논의 자체가 중단된 상태로 전해진다.
게다가 단일화의 한 주체인 정의당은 중앙당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되는 등 당 내부 사정으로 출마 후보 조차 확정하지 못한 상태라 단일화 일정이 늦어지고 있다.
실제 예비후보 등록이 시작된 이후 울산시선관위에는 진보당 4명, 노동당 1명, 노동계 무소속 1명 등이 예비후보 등록을 했을뿐 정의당 등록 후보는 한명도 없다.
이에 따라 노동계와 지역 진보 계열 정당을 아우르는 후보 단일화는 빨라야 내년 1월 말이나 2월 초, 늦어질 경우 선거운동 개시일이 임박한 2월 말~3월 초나 가능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지역 진보 정당 한 관계자는 “총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조기에 진보 진영 후보를 단일화해 선거운동에 나서기로 했지만 일련의 사정으로 단일화 작업이 멈춘 상태”라며 “노동계와 정의당의 상황이 정리되는대로 단일화 작업에 속도를 내려 한다”고 밝혔다.
이에 이달 더불어민주당 울산시당의 ‘민주진보개혁세력 연대’, 진보당 울산시당의 ‘반윤석열 총선연대’를 각각 제안하면서 더불어민주당을 포함한 진보 계열 후보의 단일화 작업 가능성이 점쳐졌지만 상당 기간 불투명한 상황이 이어질 것이란 예상이다.
신형욱기자 shin@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