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는 22일 서울 중구 LW컨벤션센터에서 주요 조선사, 안전보건공단 등과 ‘조선업 안전문화 확산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을 맺은 8개 조선사는 HD현대중공업·HD현대미포를 비롯한 HD현대삼호, HJ중공업, 대선조선, 삼성중공업, 케이조선, 한화오션 등이다.
조선업은 전통적으로 산재 발생 빈도가 높은 위험 업종인데, 최근에는 외국 인력을 중심으로 미숙련 신규 인력이 많이 유입되면서 중대재해 예방 체계를 다각화하고 내실화할 필요성이 더욱 높아졌다.
이에 정부와 업계는 이번 업무협약을 근거로 안전보건협의체를 구성, 각 조선사마다 보유하고 있는 교육 자료와 설비를 함께 활용해 보다 충실한 합동 교육을 시행하기로 했다.
우선 협의체를 중심으로 합동 안전 점검을 실시하고 주요 위험 요인에 안전 메시지를 부착하는 ‘위험표지판 부착 캠페인’을 벌인다.
또 ‘고소 작업 시 안전대·안전고리 착용’ ‘중장비·화물차 작업반경 내 접근금지’ 등 조선업 10대 주요 안전 수칙을 전파하고 조선사 간 안전교육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언어 장벽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 외국인 노동자 안전을 위해 최대 25개 언어로 번역된 교육 자료 17종을 공유·지원한다.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1~3분기 조선업에 신규 충원된 인력 중 외국인은 86%(1만2359명)에 달했다.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은 “조선업의 사고사망 만인율(노동자 1만명당 산업재해 사망자 수)은 0.86으로 통상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라며 “근본적인 중대재해 예방을 위해서는 노사를 비롯해 현장의 모든 구성원이 사명감을 갖고 위험을 사전에 제거하고 개선하는 안전문화가 정착돼야 한다”고 밝혔다. 오상민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