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17개 시도가 지역별 상황에 맞는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수립해 9일 정부에 제출한다.
울산시는 수소전기트램 운영을 통한 육상수송 부문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계획을 제시했다.
환경부는 전국 광역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지역별 탄소중립 실천 전략인 ‘제1차 시도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을 받는다고 8일 밝혔다.
시도 탄소중립 기본계획은 각 지자체가 현장 여건과 주민 의견을 반영해 탄소중립 정책을 기획하고 지방 탄속중립녹색성장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마련한 행동 지침이다.
대다수 지자체가 국가 목표와 연계해 2018년 대비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40% 이상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세부적으로 울산은 육상수송부문 무탄소 친환경 대중교통 확대를 위해 ‘수소전기트램 운영’ 계획을 내놓았다.
2029년 트램 1호선을 개통한 뒤 2032년까지 총 24.7㎞에 걸친 2개 노선을 건설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내연기관 차량 운행 대수 감소와 무탄소 동력을 통한 육상수송 부문 온실가스 감축 및 도심 대기환경 개선 등이 기대된다.
서울은 건물 에너지 사용량 온실가스 총량제 도입, 경기는 기후환경에너지데이터플랫폼 구축·운영, 부산은 자원순환 복합타운 조성을 통한 폐자원 순환 기반 구축, 인천은 녹색기후단지 조성 계획을 마련했다.
이외에도 에너지 신산업 육성을 위한 해상풍력 융합 산업단지 조성(전남), 청정 복합에너지 집적화단지를 통한 2035 탄소중립 실현(제주) 등 시도별로 특화된 탄소중립 사업을 기본계획에 담았다.
환경부는 시도 탄소중립 기본계획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오는 6월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에 보고할 계획이다.
시도별 탄소중립 기본계획 전문은 이달 중 탄소중립정책포털에서 공개한다.
환경부 관계자는 “지역은 탄소중립 정책이 이행되는 공간이자 지역 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탄소중립의 주체”라며 “시도 탄소중립 기본계획이 기폭제가 돼 지역이 주도하는 탄소중립 시대가 열리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환경부는 그간 광역 시도 및 기초 시군구 지자체에 ‘탄소중립 지원센터’ 지정을 지원하고, 산하기관인 한국환경공단 내에 ‘액트(ACT, Assist-Consult-Together)센터’를 운영하며 지자체 탄소중립 기본계획 수립 지침을 제공하는 등 지역의 탄소중립 실현을 지원했다. 석현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