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출범하는 비대위 앞에 놓인 최대 현안은 당내에서 의견이 갈리는 전대 룰 개정이다. 4·10 총선 참패 후 ‘당원 투표 100%’로 대표를 뽑는 현행 규정을 개정해 국민 여론조사를 반영해야 한다는 주장이 잇따르고 있다.
비대위원 일부는 민심을 반영하는 전대 룰 개정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수도권 초선인 김용태 비대위원은 이날 채널A ‘정치시그널’에 출연, “룰은 바뀌어야 한다. 내가 5(여론조사) 대 5(당원투표) 개정을 말한 바 있다. 3대 7 정도라도 민심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했다.
서울 강동갑에서 낙선한 전주혜 비대위원은 “내가 원외 인사들의 목소리를 대변할 것이다. 비대위 내에서 룰 개정을 이야기할 것”이라고 했다.
앞서 원외 조직위원장 160명은 전대 룰을 ‘여론조사 50%·당원투표 50%’로 바꿔야 한다고 강력 요구한 바 있다.
하지만 여전히 룰 개정에 회의적인 목소리도 적지 않게 나온다.
한 비대위원은 통화에서 “당원이 80만명 수준인데 당원 1000명 뽑고, 일반 국민 1000명 뽑아서 같이 대표를 선출하면 일반 여론조사가 과다 대표 되는 것이다. 여론조사 반영이 합리적인지 논의를 해봐야 할 것 같다”고 했다.
전대 룰을 두고 당내 목소리가 양분되면서 비대위 내부의 논의 과정에서 당내 갈등이 빚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황우여 비대위원장은 “우리가 의견을 잘 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대위원들과 논의해 전대 룰과 관련한 의견 수렴 일정을 정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전대 룰 개정뿐 아니라 전대 개최 시점을 두고도 비대위에서 격론이 벌어질 수 있다. 애초 ‘6월 말·7월 초’ 개최가 예상됐지만 황 위원장은 전대 룰 개정 여부와 당내 의견 수렴 절차 등을 고려해 일정 지연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일부 당권 주자들과 친윤계 의원들이 비대위가 조속한 전대 개최에 집중해야 한다고 반발한 바 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