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황우여 비상대책위원회가 4·10 총선 이후 전국 17개 시·도 253개 당협 경쟁력 강화 방침을 세우면서, 오는 7월 전당대회 직후부터 취약 당협에 대한 다각적인 대책을 강구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울산 관내 취약지로 꼽히는 동·북구는 4월 총선에서 조직을 가동해 온 권명호·박대동 두 전직 국회의원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의미를 두고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여권 일각에선 지방선거에 대비, 상황에 따라선 전직 국회의원을 지낸 중량감으로 ‘하향지원’(기초단체장) 방안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는 기류도 있다.
◇여권 동·북구 취약지 배경
4·10 총선 결과 울산 관내 6개 지역구 가운데 노동계의 심장부인 동·북구에선 국민의힘 후보가 패배함으로써, 차기 지방선거에서도 상당한 어려움이 따를 것이라는 관측이다.
특히 지난 21대 총선에서 동구를 사수한 국민의힘이 이번 총선에서 패배해 정치적 충격파는 더욱 커진 상황이다. 더욱이 동구는 국회와 기초단체장을 민주당(김태선)과 진보당(김종훈)이 각각 차지하고 있고, 차기 지방선거에서도 야권연대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여권은 보고 있다.
북구 역시 4월 총선에서 민주당과 진보당이 연대해 진보당 윤종오 의원이 지역구를 장악한 상황에서 여권은 상대적 취약지로 자체 판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지역 여권 내부에서는 내년부터 사실상 지방선거 준비체제로 전환해, 시장과 5개 구·군 기초단체장 석권을 위해 취약지역구에 대한 중장기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여권 내부의 취약지 탈환 대책은
국민의힘 내부에선 울산 동·북구의 경우 4·10 총선에 출마했던 권명호·박대동 전 의원 중심으로 조직정비에 대한 기대감이 묻어나고 있다.
여권의 조직 관련 핵심 인사는 3일 본보 취재진과의 전화에서 “4·10 총선에서 패배한 지역구 후보자들의 면면을 종합하면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강한 후보자들이 많았던 것도 사실”이라면서 “울산 동·북구의 경우엔 야권 연대 민심과 함께 여권 지도부의 전략적 실패에서 기인한 것도 있다는 게 자체분석”이라고 진단했다.
이 관계자는 “올해가 지나면 정치권은 곧바로 차기 지방선거 체제로 전환되는 마당에 현 당협위원장들의 막후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며 사실상 동구 권명호·북구 박대동 두 전직 국회의원의 역할론을 에둘러 내비쳤다.
이런 가운데 울산 관내 또 다른 여권의 한 관계자는 두 전직 국회의원의 지방선거 ‘하향지원’ 필요성을 제기해 주목된다.
여권 관계자는 “김종훈 동구청장은 전직 국회의원이었다가 구청장에 하향지원해 성공한 사례”라며 “전직 국회의원으로 중량감 있는 정치인도 결국 지역과 국가발전을 위해 나서야하지 않겠느냐”고 했다.
이에 대해 두 전직 의원은 입장을 밝히지 않은 가운데 일각에선 정부 산하 공기업 CEO 등에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어 향후 정치적 스탠스가 주목된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