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기여도 큰 울산, 혜택은 빈곤
울산이 연간 부담하는 국세 부담은 서울, 부산에 이어 세번째로 많다. 정부 자료에 따르면 3년 전 전국 시도별 국세 징수비율을 보면 국세 293조4543억원 중 서울이 90조8802억원으로 가장 많고, 부산 17조6839억원, 울산이 11조3631억원으로 파악된다. 특히 지난 2023년도의 경우 울산은 12조원 넘은 국세를 부담한 것으로 나타났다.
역대 대통령들은 정권이 교체될 때마다 울산을 직접 방문, 산업수도 울산 경제가 대한민국 경제발전의 중추적 역할을 한다고 평가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부터 지난 2022년 5월 취임한 윤석열 대통령까지 울산을 방문해 같은 입장을 취했다.
하지만 울산 출신 인사를 장관으로 발탁한 사례는 이명박 정부 시절 이채필 고용노동부 장관이 유일하다. 하지만, 이는 차관에서 장관으로 자연스레 발탁된 사례다. 노무현 정부 때도 송철호 전 시장을 국민고충처리위원장(장관급)에 발탁한 적이 있지만, 법적으로 장관(국무위원)은 아니다. 집권 3년 차 윤 정부에선 아직 1명도 없다.
◇여권이 보는 추천대상은
6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정부에서 재임 기간이 긴 부처부터 교체 대상으로 보고 있다.
윤석열 정부 출범 후부터 2년간 장관직을 한 장관은 이상민(행정안전부)·이종호(과학기술통신부)·한화진 (환경부)·이정식(고용노동부) 장관 등 4명이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이주호 교육부 장관도 ‘장수 장관’으로 분류된다.
‘맞춤식 장관’으로 추천할만한 울산 지역 인사는 3선으로 국회 행안위원장과 문체위원장을 역임한 이채익 전 의원과 초선 권명호 전 의원이 꼽힌다. 이 외에도 3선 울산시장과 재선 국회의원을 지낸 박맹우 전 사무총장도 언급된다. 이들은 전문성과 도덕성 검증에서 자유로워 국회 인사청문에서도 무난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다만, 한편에선 정부산하 공기업 추천설이 나오는 가운데 지역 여권 차원에서 사전 조율이 시급하다는 주문도 나온다. 여권의 한 핵심 인사는 “장·차관급이든 공기업 CEO든 지역 여권 지도부가 물밑 사전조율을 거친 뒤 합의점을 찾아 추천할 필요성이 있다”며 “4월 총선 직후 원외 비중 있는 인사 가운데 공직후보 가용인원은 많지만, 중구난방식 개별 경쟁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