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대 국회 개원 직후부터 울산지역 야권의 정치력이 상대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김태선(동구) 의원과 원외 최고위원인 전은수 남구조직위원장의 팀플레이가 주목받고 있다.
특히 김 의원과 전 최고위원의 팀플레이 배경엔 이재명 대표체제가 부·울·경 가운데 대한민국 산업수도이자 노동계의 심장부인 울산을 민주당의 전진기지로 판단하고 있는 것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당 지도부 차원에서 전폭적인 지원체제를 구축키로 한 방침의 연장선으로 풀이된다.
나아가 울산지역 국비 등 대대적인 물량 지원과 정치적 위상 제고를 위한 고도의 전략으로도 읽힌다.

이재명 대표와 박찬대 원내대표체제에서 각별한 신임을 받고 있는 김 의원은 국회직과 당직만 3개를 맡고 있는 맨파워로 부상하고 있다. 김 의원은 국회 예산결산특위 위원, 원내부대표, 조강특위위원 활동과 함께 지역구 활동으로 24시간이 부족할 만큼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김 의원은 9일 “초선임에도 불구하고 국회직과 당직 등 중책이 주어져 책임이 무겁다”며 “지역 출신 전은수 최고의원과 함께 지역 국비 확보는 물론 현안 대처 등에 혼신의 노력을 기울일 각오”라고 밝혔다.
특히 김 의원은 “원외 조직위원장인 전 최고위원이 당 지도부에서 역할을 하고 있고, (내가) 원내에서 다양한 활동을 펼침으로써 울산은 영남권 민주당의 중심부와도 다름없다”면서 “이재명·박찬대 지도부에서도 울산을 매우 중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국회 예결위원인 김 의원은 민선 8기 김두겸 시정부가 펼치는 국비 4조원 시대를 열어가는 데도 초당적 역할을 하겠다는 각오다.
또한 이 대표제체에서 원외인사에도 불구하고 당지도부로 등극한 전 은수 최고위원은 울산을 비롯해 부산·경남, 대구·경북권을 대표하는 지명직 최고위원이다. 매주 월·수·금요일 당 지도부 역할을 하고 있다.
4·10 총선 당시 인재 영입에 의한 전략공천으로 총선을 치른 전 최고위원은 청년들의 삶의 질을 파격적으로 향상하는 정책 아이디어를 비롯해 부·울·경 거시적 상생 전략에 대해서도 당내 전문가군과 다각적인 의견을 교환 중이다.
전 최고위원은 지난 6일 열린 최고위 회의에서 “지방이 살아야 대한민국이 산다”면서 “단일 시도 단위 정책과 자원만으로 수도권 일극체제를 타개할 수 없다”고 강조, 지역발전에 강한 의지를 나타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