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 대통령은 이날 서울 광진구 소재 국립정신건강센터에서 열린 회의에서 “정부가 그동안 다양한 분야의 의견을 수렴해 정신건강 혁신 세부 이행 계획을 예방, 치료, 회복 등 세 방향으로 수립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우리나라가 이룩한 물질적 풍요로움에 걸맞게 국민 정신건강도 균형을 맞춰야 한다는 문제의식에 따라 정부가 적극적인 이니셔티브를 갖고 정신건강 정책을 추진하게 됐다”고 말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향후 대책과 관련, “7월부터 국민이 전문가에게 심리상담을 받는 ‘전 국민 마음 투자 사업’을 시작하고 임기 내 총 100만명에게 심리상담 서비스 패키지를 제공하겠다”고 소개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청년들이 10년마다 받는 정신건강 검진을 내년부터는 2년마다 받도록 하고, 자살 예방 상담 전화 인력과 시설을 확대하며, 2028년까지 권역 정신응급의료센터를 현재의 약 3배 수준으로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와함께 “이제 내년부터 재정도 본격적으로 투입할 것”이라며 “정신질환도 육체적 질환과 동등하게 온 사회가 관심을 갖고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정신질환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도 특별히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정신질환도 일반질환과 같이 치료할 수 있고, 치료하면 위험하지 않다’라는 인식이 우리 사회에 뿌리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혁신방안 세부 이행계획을, 신영철 혁신위원장은 위원회 운영방안을 각각 발표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지난해 8월 국민의 정신건강을 국가가 챙기겠다고 밝힌 데 이어, 작년 12월 정신건강 문제를 주요 국정과제로 삼아 정신건강정책 혁신위를 설치하겠다고 약속했다. 역대 정부 중 정신건강 분야 대통령 직속 위원회를 출범한 정부는 이번이 처음이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