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 대통령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회의에서 “합리적인 대화와 타협이 사라지면, 모든 어려움과 고통은 국민에게 돌아간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의 이러한 언급은 더불어민주당의 탄핵 추진에 김홍일 방송통신위원장이 자진사퇴하고, ‘채상병특검법’과 ‘방송4법’ 등 여야 합의가 되지 않은 안건을 야당이 강행 처리하려는 정국 상황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또 인구전략기획부 신설과 더불어 정무장관을 부활하기로 한 만큼 국회와 소통을 통해 민생 현안을 풀어나가고 싶다는 의지도 밝힌 것으로 해석된다.
윤 대통령은 “국정의 목표, 정치의 목표는 하나로서 민생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국민을 더 행복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 만큼은 정부와 국회가 다르지 않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민주주의가 다양성 위에 존재하는 만큼 서로 의견이 다를 수는 있다. 상대의 의견을 존중하면서 대화와 합의에 기반한 합리적 시스템으로 의견의 격차를 좁히고, 이를 통해 의사결정을 이뤄내는 것이 정치의 요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번 국회가 오직 국민만 바라보며, 민생문제를 슬기롭게 해결해 나가는 훌륭한 정치의 장이 되기를 바란다. 저와 정부도 민생의 어려움을 빠르게 해결하고 대한민국이 더 큰 미래로 도약하도록 더욱 힘쓰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윤 대통령은 화성 화재 희생자와 서울시청 앞 교통사고 희생자의 명복을 빌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