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지역 여권이 화합무드를 통해 정치력 회복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2대 국회 여소야대 정국 속 윤석열 정부 임기 중반 지지율이 여전히 20~30%대의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는 현실에서 지역 여권과 당정이 힘을 보태기는 커녕 갈등이 증폭되고 있는 데 따른 우려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울산시의회 의장단 선거 결과가 ‘갈 데까지 가보자’는 법정 다툼으로 확전된 상황에서 지역 여권의 갈등이 장기화할 경우 9월 정기국회 개원에 앞서 4조원대의 국비 확보와 현안 대처 전략에도 일정 부분 차질이 생기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국민의힘 등 지역 범여권 정치권은 울산시의회 의장단 선출을 둘러싸고 자의든 타의든 개입 의혹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더욱이 4명의 현역의원 측의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한 당소속 시의원들의 이상기류도 없지 않다는 시각이다. 여기다 당소속 시정부의 정무적 행보 일각에서도 정치적 오해의 소지를 남긴 게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지역 국회의원들의 물밑 시그널은 시의원들에게 현실적으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밖에 없다. 내년부터 본격 준비 체제로 전환되는 2026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사실상 지역구별 공천권이 걸려 있는 시의원들로선 자유롭지 않은 현실적 한계도 없지 않다.
이러한 현실에서 시의장 자격 여부를 둘러싸고 국민의힘 소속 시의원 간에 법적 시비로까지 확전된 이면엔 일차적으론 시의원들의 책임도 있지만, 지역 여권의 책임론도 나온다.
지역 여권의 가장 시급한 과제는 조속한 화합을 위한 갈등 수습책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다. 이를 위해선 여권 내부 정치력 회복이 먼저라는 게 중론이다. 우선적으론 첫 갈등의 불씨를 제공한 국민의힘 소속 20명 시의원의 자정 노력이다. 시의회 의장단 선출 과정에서 촉발된 앙금을 조속히 해소하는 특단의 해법을 강구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역 여권의 사정을 꿰뚫고 있는 한 인사는 “현재 법적 다툼으로 확전된 시의장 자격 시비 확정판결이 나온 뒤 감정의 골이 더 깊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팽배하다”면서 “다소 늦었지만, 물밑 조율을 통해 소를 취하한 뒤 각각 1년씩 나누어 진행하는 방안도 있지 않겠느냐”고 했다. 지역 여권의 정치력 발휘가 시급하다는 얘기다.
한편에선 화학적 융합을 위해 당소속 국회의원·단체장·지방의원 등이 참석하는 ‘원포인트 워크숍’을 시당 차원에서 서둘러 개최하는 방안도 필요하다는 여론도 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