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당의 이러한 전략은 8·18 전당대회에서 이재명 대표 체제가 출범하게 되면 곧바로 지방선거 체제로 전환, 울산을 비롯한 전국 17개 시도당별 조기 필승전략 수립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연장선에서 노동계의 심장부인 동·북구청장에 대해 이러한 전략은 지방선거가 임박한 시점에 야권단일화 등 중장기 로드맵에 대해 지역 여론에 맞춰 순조롭게 진행시키기 위한 사전 포석으로 읽힌다.
민주당 원내부대표인 김태선(울산 동구·사진) 의원은 24일 서울 여의도에서 지역언론 국회 출입기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차기 지방선거는 차기 대선(2027년 3월) 필승의 교두보 성격이 강하다”고 밝히면서 이런 방침을 밝혔다.
특히 김 의원은 차기 울산시장 선거와 5개 기초단체장 선거의 중요성을 강조, “동·북구청장의 경우엔 노동계의 심장부라는 현실에서 반드시 야권 단일화를 조기에 이뤄내 승리를 가져와야 한다는 전략”이라고 했다.
이는 지난 4월 총선 직후 여야 지역구별 조직(당협) 위원장들의 조직 정비 차별화와도 직간접 관련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민주당의 경우 동구는 현역 김 의원이 조직위원장을 겸하면서 지역구 현안 해결 및 국비 확보 등에 총력을 기울이는 등 민심을 더욱 깊이 파고들고 있지만, 총선에서 패배한 국민의힘의 경우 권명호 당협위원장이 공기업 사장 공모에 참여하는 등 조직에 구멍이 뚫릴 가능성이 높은 현실과도 무관치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김 의원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차기 시당위원장 출마 포기 이유에 대해 “22대 국회 후반기에 시당위원장을 맡아 지방선거와 대선에서 더 큰 역할론이 필요하기 때문”이라면서 사실상 지방선거에 올인 전략을 에둘러 밝혔다.
민주당 안팎에선 김 의원이 8·18 전당대회에서 이재명 대표 체제가 출범하게 되면 비서실장 또는 전략기획부총장 하마평에 올라 있다.
민주당의 이같은 움직임 속에 국민의힘은 전날 공식 출범한 한동훈 대표 체제에서 조직강화 특별위원회를 본격 가동, 울산을 비롯한 전국 지역구별 조직 정비에 착수한다는 방침이다.
울산 북구 당협의 경우 박대동 전 의원이 4월 총선 야권 단일화로 패배한 뒤에도 차기 지방선거 필승을 위한 조직 정비에 나서는 등 발빠른 대응을 하고 있다는 평가다. 북구 당협 관계자는 24일 “북구는 총선 이후 박대동 위원장 중심으로 당협조직 정비를 서두르면서 당 중심 외연 확대를 추진 중”이라면서 “지방선거에 반드시 필승하겠다는 의지를 갖고 있다”고 전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