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여권에 따르면 지명직 최고위원과 함께 전략기획부총장은 전당대회 캠프 총괄상황실장을 맡았던 신지호 전 의원이 사실상 내정 단계로 알려졌다. 또한 각각 신임 홍보본부장·대변인으로 유력하게 거론되는 장서정 전 비상대책위원, 한지아 의원까지 모두 친한계로 분류되는 인사들이다.
조직부총장엔 초선 의원을 중심으로 원내에서 우선 물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재섭 의원 등 비주류 성향 인사들이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 원장엔 전당대회 캠프 때부터 조력해온 현역 의원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대표의 이러한 당직 개편 기류는 친윤(친윤석열)계 정점식 전 정책위의장 교체 이후 후속 당직 인선을 통해 ‘친정 체제’ 구축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한 대표는 핵심 당직인 사무총장에 친한계 서범수 의원을 기용했고 비서실장으로는 역시 친한계인 박정하 의원을 임명했다. 이어 친윤계 정점식 전 정책위의장 후임에 대구·경북 지역(TK) 4선인 김상훈 의원을 내정했다.
한 대표의 당직 인선 포석은 당무 의결기구인 최고위원회 구성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당연직인 정책위의장에 이어 지명직 최고위원까지 인선이 완료되면 최고위 구성원 9명 중 5명이 친한계 또는 한 대표가 임명한 인사로 채워진다.
이런 가운데 당 일각에선 김상훈 정책위의장 내정자의 의원총회 추인 문제가 한 대표의 정치력과 리더십을 검증하는 무대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당내 일부 친윤계를 중심으로 ‘표결’ 필요성을 거론하는 목소리가 작지 않기 때문이다.
대표와 원내대표가 협의 후 단수로 지명하는 정책위의장 인선 안건의 경우 관례상 표결을 거치지 않고 박수로 추인해왔다.
한 대표 측은 김 내정자 인선 과정에서 대통령실에도 의견을 구하고 추경호 원내대표와도 조율을 거친 만큼 추인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혹여 친윤계가 표결을 주장해 ‘한동훈 흔들기’를 시도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지만, 정점식 전 정책위원장 자진 사퇴로 신경전을 봉합한 상황에서 친윤계가 다시 계파 갈등의 불씨를 되살리는 것은 정치적 부담이 될 수 있다.
김두수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