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에 따르면 이날까지 울산을 비롯해 총 17곳 중 14곳에서 지역순회 경선 결과 권리당원 온라인 누적 투표율은 26.47%로 집계됐다.
이를 두고 당내에선 단순한 투표율 저조를 넘어 ‘확대명’(확실히 대표는 이재명) 구도 속에 여론의 눈길을 끌 만한 이슈 경쟁이 실종된 것도 뼈아픈 지점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2위 김두관 후보가 이 후보의 종합부동산세 완화론·금융투자소득세 유예 주장을 정면으로 공격하고 더 나아가 ‘친명 일극체제’ 비판에 몰두했으나 추격의 발판으로 삼기에는 역부족이다.
권리당원이 다수 포진한 수도권 경선과 전국 ARS 투표가 남아있기는 하지만, 이례적으로 낮았다고 평가받았던 2022년 8·28 전대 투표율에도 못 미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높다.
이재명 후보가 당 대표로 선출됐던 2년 전 전대 당시 권리당원 온라인 투표율은 25.18%, ARS를 합산한 권리당원 총투표율은 37.09%였다. 더 거슬러 올라가면 2020년 8월 전대는 41.03%, 2021년 5월 전대는 42.74%의 총투표율을 각각 기록했다.
당 안팎에선 경선 초반부터 90%대 득표율로 치고 나간 이재명 후보의 독주가 투표 저조 현상으로 이어졌다고 분석한다. 김두관·김지수 후보가 당권 경쟁에 가세하기는 했지만 ‘다윗 대 골리앗’ 구도 하에서 애당초 컨벤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는 것이다.
이 후보는 지난달 31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투표에 참여하지 않은 당원 동지들이 많이 있다. 참여가 곧 권력인 만큼 당의 주인으로서 꼭 투표에 참여하길 바란다”며 당원들에게 투표를 독려했다. 김두수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