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 앞바다 부유식 해상풍력 사업 시행자들이 모두 환경영향평가를 통과하며 훈풍이 부는 가운데, 사업의 핵심인 배후부지 등 확보 방안은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6GW급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단지가 조성되는 과정에서 65조원이 훌쩍 넘는 생산유발효과가 기대된다는 분석도 나왔지만, 마땅한 부지와 부두가 없어 자칫 울산 앞바다를 내주고 일자리 창출부터 연관 산업 부흥 등 경제 효과는 타 시·도에 내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9일 울산시에 따르면, 지난 27일 문무바람이 환경영향평가 승인을 받으며 울산 앞바다에 조성되는 5개 부유식 해상풍력 프로젝트가 모두 환경평가 본협의를 끝마쳤다.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입찰이 예정됐지만, 해상풍력 설비를 적치하고 사전 조립, 운송 등을 지원하기 위해 필수적인 배후부지 마련은 아직 안갯속이다.
대규모 해상풍력 발전단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인프라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 해상풍력 터빈과 블레이드 등의 부품들이 대형인 만큼 조성지와 최대한 가까운 곳에 해상풍력 전용 항만과 배후부지를 확보한 뒤 설비를 보관하고 조립하는 식이다.
현재 울산항만공사는 해상풍력 인프라 구축에 나서며 철재부두 1선석을 해상풍력 관련 부지로 활용하기 위한 공사를 진행 중이다.
그러나 시와 항만공사에 따르면 6GW급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단지를 감당할 만한 마땅한 배후부지가 없는 상황이다.
지난 2022년 울산시와 해양수산부, 환경부 등이 모인 ‘민관합동 해상풍력TF 회의’에서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단지 조성을 위해선 최소 30만평 규모의 배후부지가 필요하다고 분석됐다.
시와 항만 관계자는 “실질적으로 수요가 있을지 없을지는 입찰에 들어가고 개발을 해 봐야 아는 상황이다보니 아직 정확한 부두나 배후부지 요구 규모 등은 파악되지 않았다”며 “다만 현재 울산에서 해상풍력 배후부지를 조성할 수 있을 만한 여유 부지는 사실상 확보하기 힘든 상황”이라고 밝혔다.
실제 2022년 민관합동 해상풍력TF 회의에서 언급된 배후부지는 울산항만공사 남신항 일대와 온산국가산단 일대 해양 매립을 통한 조성이다.
그러나 항만당국은 현재 활용할 만한 부지는 더 이상 없다는 입장이며, 해상풍력 업계 관계자들 역시 온산국가산단 매립을 통한 부지는 막대한 비용이 예상되는 만큼 쉽지 않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와 해상풍력 업계 관계자는 “결국 민간사업자가 부지를 매입해 배후부지를 조성해야 하는데, 온산국가산단 일대는 모두 기업 소유 부지로 큰 비용이 들 것”이라며 “이에 일부 부산이나 거제, 포항 등 비어있는 항만이나 여유 부지가 있는 타 시도를 알아보는 움직임도 보인다”고 말했다.
문제는 배후부지를 뺏길 경우 배후부지 조성에 따라오는 일자리 창출과 지역 중소기업 관련 산업 육성 기회 등을 잃는다는 점이다.
실제 지난 6월 열린 ‘2024 울산 부유식해상풍력발전 포럼’에서 울산 부유식해상풍력 프로젝트 전체 기간 동안 △생산유발효과 65조2400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27조6000억원 △고용유발효과 27만2800명으로 전망됐다.
이 중 울산이 △생산유발효과 69% △부가가치유발효과 72% △고용유발효과 71% 등을 얻을 것으로 나타났지만, 정작 배후부지가 없다면 타 시도에 기회를 넘길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해 울산시 관계자는 “민간 사업시행사에서 사업을 주도하면서 가장 유리하고 효율적인 조건으로 선택할 것”이라며 “배후부지 등 확보 과정은 민간끼리 진행하다보니 시에서 나서서 돕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항만 관계자는 “민간에서는 부지는 넓으면 넓을수록 좋다는 입장인데, 정확한 요구 규모는 다 다르다”며 “회사별로 15만~20만㎡ 등 요구하는 규모가 달라 외국의 사례를 통해 부두와 배후부지 규모를 분석하고 있다. 항만에서도 최대한 활용할 만한 부분이 어느 정도인지 계획안을 세울 것”이라고 밝혔다. 정혜윤기자 hy040430@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