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당 지역 공약 발표
중앙당 “논의 더 필요” 판단
시당 “중앙당 공약 별개 추진”
더불어민주당 울산시당이 제21대 총선 울산1호 공약인 ‘울산 공공의료원 건립’이 중앙당의 울산지역 공약 선정에서 배제됐다. 중앙당 “논의 더 필요” 판단
시당 “중앙당 공약 별개 추진”
민주당 울산시당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정국에서 발빠르게 내놓은 울산1호 공약이 빛을 바래게 됐다.
민주당 울산시당(위원장 이상헌)은 30일 울산시의회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민주당 중앙당에서 결정한 제21대 국회의원선거 울산지역 공약을 발표했다.
울산공약에는 세계 최고 수소도시 육성, 국립산업기술박물관 건립, 구·군 공공산후조리원 설립 확대, 산재전문공공병원 조기완공 및 산재의료시스템 구축 등 5개 사업이 포함됐다.
울산시당은 그러나 “이번 총선에서 1호 공약으로 발표한 ‘울산 공공의료원 건립’은 중앙당의 총선공약에서 채택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민주당 울산시당과 6개 지역구 총선 출마후보들은 지난 3월12일 “코로나 사태를 겪으면서 그동안 지역사회에서 끊임없이 요구해왔던 공공의료원이 왜 필요한지 새삼 절감했다”면서 울산공공의료원 건립을 울산 1호 공약으로 선정 발표했다.
지방 공공의료원이 있어야 지역거점 공공병원으로서 많은 역할을 수행하며 지역 공공의료 보편적 보건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며 1호 공약 선정 당위성을 설명했다.
울산시당은 “2018년 현재 울산과 인구 규모가 비슷한 광주의 공공의료기관 병상 수는 2753개로 530명당 1개이고, 대전은 3129개로 470명당 1개”라면서 “500병상 규모의 울산공공의료원 공약을 실현해도 114명당 1개꼴로 다른 지역에 비하면 많이 부족하다”고 부연했다.
울산시당 관계자는 “중앙당에 공공의료원 건립을 건의했으나, 논의가 더 필요하다고 본 것 같다”면서 “중앙당 공약과는 별개로 울산시당 차원에서 공공의료원 설립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울산건강연대, 울산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울산에너지전환네트워크 등 울산지역 시민단체들도 지난달 19일 4·15총선 시민의제로 공공병원이 하나도 없는 열악한 의료현실을 감안해 울산의료원 설립 등을 지역 정치권에 제안한바 있다.
이에 따라 그동안 국비로 추진하던 울산 공공의료원 건립사업은 지방비가 소요되는 지방 공공의료원으로의 전환이 불가피하게 됐다.
지역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진주의료원이 32년만에 폐원된 것을 비롯해 광역자치단체에서 운영하던 전국의 지방의료원이 고비용 저효율적인 경영으로 지역의 혈세를 깎아 먹는 부실 공공의료기관으로 전락한 현실에서, 지방비 부담이 가중되는 지방의료원 보다는 공공의료원이 관철될수 있도록 지역사회가 힘을 모아야 한다”고 밝혔다. 김창식기자 goodg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