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25.97%…북구 최저
코로나 영향·新문화 분석
각당 유불리 해석에 분분
돌발악재 경계 내부 단속

여야는 4·15 총선 종반전을 대비, 사전투표율 유불리 분석과 함께 막판 변수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표밭갈이를 위한 총력전에 들어갔다.
제21대 총선 울산 사전투표율은 전국 평균에 비해 1%p가량 낮았다.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전국적인 분위기와 달리 울산은 기록 경신에 실패, 역대 2위에 그쳤다. 울산 6개 선거구 중 역대 선거에서 거의 1~2위를 도맡았던 북구의 이번 총선 사전투표율은 꼴찌로 내려앉았다.
이같은 결과들이 울산지역 특정 정당 또는 후보에 유불리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 한창인 가운데 일명 ‘코로나 총선’으로 인한 특수한 상황으로 보는 시각과 함께 ‘사전투표가 새로운 선거 문화로 자리잡았다’ 등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지난 10일과 11일 이틀간 진행한 제21대 총선 사전투표에서 총 4399만4247명의 선거인 중 1174만2677명이 참여해 사전투표율 26.69%를 기록한 것으로 잠정집계됐다고 12일 밝혔다. 지난 2014년 지방선거에서 처음 도입된 사전투표는 지난 2017년 대선 당시 26.06%로 최고치를 찍었다가 이번 총선에서 최고기록이 경신됐다. 전국 17개 시·도 중 전남이 35.77%로 가장 높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최대 피해지역인 대구가 23.56%로 가장 낮았다.
울산은 17개 시·도 중 11번째이자, 전국에 비해 0.72%p 낮은 25.97%에 그쳤다. 지난 2017년 제19대 대선 당시 사전투표율(26.69%)에 못미쳤다. 당시 전국 사전투표율은 26.06%였다.
울산 구·군별로 보면 동구가 27.31%로 가장 높고, 울주(26.87%), 중구(26.28%), 남구(25.38%) 순을 보였다. 반면 사전투표가 도입된 2014년 이후 선거에서 항상 1위 또는 2위의 사전투표율을 기록하고 총 투표율에서도 1위 또는 2위에 올랐던 북구의 사전투표율은 24.57%로 5개 구·군 중 가장 낮았다. 특히 울산에서 가장 젊은 자치구인데다 대규모 공동주택이 밀집한 송정지구 입주 등으로 직전 총선에 비해 유권자가 거의 3만명 가까이 늘어난 북구의 사전투표율이 역대 선거와 정반대의 결과가 나왔다.

여야 모두 예상보다 높은 사전투표율이 나온데 대해 자기 지지층이 투표장에 대거 나온 결과라고 유리하게 해석하는 분위기다.
특정정당의 유불리를 떠나 신종코로나 감염을 우려해 혼잡한 본선거를 피하고 사전투표를 택한 유권자가 많았을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사전투표가 새로운 문화가 서서히 자리잡고 있는 분위기로 보는 시각도 있다.
미래통합당의 경우 유리한 해석을 내놓으면서도 높은 사전투표율에 바짝 긴장하는 모습도 감지된다. 통합당의 경우 20% 초반대 사전투표율을 기록한 지난 2018년 지방선거 당시 일부 기초단체장 선거에서 사전투표에서 결과가 뒤바뀌어 낙선하는 경험을 한 바 있다.
민주당은 상대 당 후보들의 잇따른 막말 논란을 ‘호재’로 보기보다는 정쟁을 자제하고 민주당 내부에서 나올 수 있는 막말을 조심해야 한다며 옷깃을 여미는 모양새다. 유시민 노무현재단이사장의 ‘180석 발언’이 자칫 역공을 불러올까봐 차단에 나서기도 했다.
통합당은 총선 후보 등의 잇단 막말에 이어 남은 기간 또 다른 막말 논란을 막기 위해 내부 단속에 나서는 한편 수도권 공략 등을 위해 ‘4·15 총선 전국 동시 대국민 호소’라는 이름의 행사를 개최, ‘72시간 투혼 유세’에 들어간다. 김두수·이왕수기자